OHTS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11일 (월) 15:45 판 (→‎결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OHTS)[1][2]

연구의 목적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대한 지연 또는 방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연구 시작 60개월 째에, 약물 치료를 받은 군에서 OAG 발생율은 4.4%,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군에서의 발생율은 9.5%로,약물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OAG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령, 큰 유두 함몰비, 조기 시야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OHTN에서 OAG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요인들로 보고하였다.

이 위험 요인들을 바탕으로 위험도를 계산하여 OAG의 발생 위험도가 6% 미만, 6~13%, 13% 이상의 발생확률을 가진 세 군으로 나누고, 또한 처음 연구의 시작 때 약믈을 사용했던 군과,7.5년간 약물치료 없고 약물없이 경과관찰을 한 뒤 나중에 치료군으로 들어온 지연 치료군을 비교하였다. 연구 시작 13년 이후 OAG으로의 진행율은 위험도 6% 미만인 군의 경우 약물 치료군에서 7%, 지연 치료군에서 8%였던 것에 비해, 위험도가 13% 이상인 군에서는 약물치료군에서 28%, 지연 치료군에서 40%였다.

결론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는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안압증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 요인으로 고령, 큰 유두함몰비, 조기 시야 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보고하였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Kass MA et al. The OHTS : a randomized trial determines that topical OHTN medication delays or prevents the onset of POAG. Arch Ophthalmol. 2002 Jun;120(6):701-13; discussion 829-3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