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막 산소 공급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20일 (목) 07:04 판 (→‎허혈 시신경병증 (ION))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체외막 산소 공급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은 체내의 정맥혈을 펌프를 통해서 체외로 뽑아내어 산소막을 통과시켜 적절한 산소화를 시킨 후 이를 다시 환자의 정맥 혹은 동맥을 통하여 주입하는 생명유지 기계 장치로, 심폐부전 환자나 심정지의 소생 치료로 사용 영역이 확대되면서 점차 적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1].

합병증

고식적 심폐 소생술에 비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면서 그에 따른 합병증 발생 빈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2]. ECMO 삽입 자체가 하지허혈, 출혈, 감염, 혈소판 감소증, 혈전증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허혈성 뇌손상 등의 신경학적 문제, 급성 신손상, 허혈성 심근손상 및 폐부종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2].

허혈 시신경병증 (ION)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ION이 발생하여 시력 소실 및 시야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3]. Assawakawintip 등[4]은 ECMO 등 심폐 우회 (cardiopulmonary bypass, CPB) 장치를 적용한 44,568명 중 10,000명당 0.2명에서 ION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고, Nuttall 등[5]은 CPB 장치 적용 후 시력 저하를 호소한 17명의 환자 중, 53%에서 양안성이었고, 71%에서 시신경 유두 부종 소견을 보였으며, 53%에서 안전 수지보다 심한 시력 저하를 보였고, 59%에서 전시야 결손을 보였다고 하였다.

ECMO의 사용으로 인한 ION의 발생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는 않으나, 심한 저혈압, 혈관 수축제의 사용 등과 같은 혈역학적 불균형으로 인한 동맥 관류압의 저하 및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 저하[3][6], CPB 장치의 동맥으로의 접근 과정에서 발생하는 색전 혈전증의 발생[7], 막산소 공급기의 파열이나 관 연결부의 느슨함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색전증 등이 기전으로 설명되고 있다[8].

참고

  1. Eckman PM et al. Veno-Arterial ECMO for Cardiogenic Shock : An Introduction for the Busy Clinician. Circulation. 2019 Dec 10;140(24):2019-2037. 연결
  2. 2.0 2.1 Zangrillo A et al. A meta-analysis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of ECMO. Crit Care Resusc. 2013 Sep;15(3):172-8. 연결
  3. 3.0 3.1 Wirth CD et al. Bilateral PION after severe diabetic ketoacidosis, CPR and respiratory failure. BMJ Case Rep. 2013 Feb 14;2013:bcr2012008291. 연결
  4. Assawakawintip C et al. Incidence of 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20y Experience. J Cardiothorac Vasc Anesth. 2021 Jan;35(1):35-38. 연결
  5. Nuttall GA et al. RFs for 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a matched case/control study. Anesth Analg. 2001 Dec;93(6):1410-6, table of contents. 연결
  6. Buono LM et al. Periop. PION : review of the literature. Surv Ophthalmol. 2005 Jan-Feb;50(1):15-26. 연결
  7. Acir NO et al. ION following CPB surgery: a case report. J Med Cases 2015;6:20-3.
  8. Blauth CI. Macroemboli and microemboli during CPB. Ann Thorac Surg. 1995 May;59(5):1300-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