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러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9일 (목) 00:31 판 (새 문서: 필러 (filler) 는 피부나 피하 지방층에 부피가 감소되었거나 부피를 증가할 필요가 있는 부위에 주입하여 채우는 물질로서, 얼굴주변의 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필러 (filler) 는 피부나 피하 지방층에 부피가 감소되었거나 부피를 증가할 필요가 있는 부위에 주입하여 채우는 물질로서, 얼굴주변의 부피를 교정하여 기능과 미용 목적으로 쓰인다.

병태 생리

주사형 필러는 피부 속에 일정한 부피를 제공하고 당장은 큰 변화가 없지만 피부 속의 섬유아세포 등을 자극해 서서히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연조직 확대의 효과를 기대한다.

분류

- 콜라겐 : 필러 물질 1세대라고 할 수 있으며, 부피의 팽창 효과보다 조직 구조를 지지하는 성질을 가지며 혈소판 응집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시술 후 타박, 혈종과 같은 반응이 적다. 동물성 콜라겐의 경우 생체 내 지속 시간은 2~4개월로 짧으며, 약 3% 정도에서 알러지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므로 시술 전 반드시 최소한 2회 이상의 피부 반응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 calcium

과정 또는 용법

  1. 마취 : 직접적으로 시술 할 부위에 마취제를 주입하면 필러를 주입할 때 교정량과 결과를 판단하게 어렵기 때문에 국소 신경 차단이나 국소 마취 크림 도포가 적당하다. 콜라겐과 같은 물질은 상품 내에 lidocaine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바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2. 바늘의 선택 : 주름에 적당한 필러의 선택이 가장 중요하며, 이 물질의 농도에 따라 적절한 굵기의 바늘을 선택야여야 한다. 얇고 미세한 주름의 교정은 30게이지 내지 32게이지 정도가 적당하며 심부 주름이나 반흔, 부피 결손의 교정을 위한 Perlane(R)과 같은 점성이 높은 물질은 27게이지 정도의 굵은 바늘을 사용햐여야 한다.
  3. 주입 기술
- 선형 후진 주사법 (linear threading technique)
- 연속 천자법 (serial puncture technique)
- 수직 교차 주사법 (cross-hatching technique)
- 부챗살모양 주사법(fan technique)

주입 도중 조직이 하얗게 변하는 경우 즉시 주입을 멈추고 주입 부위를 마사지 해야 하며 주입이 끝난 후에도 주위 조직과의 조화를 위해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추가 주입 :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 주입이 필요하게 되는데 첫 주입 후 다음 번 주입까지 2주 정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Perlane®과 같은 점성이 높은 물질로 심부의 결손을 채운 뒤 그 위에 Restylane(R)이나 Restylane Touch®와 같이 낮은 점성 물질을 overlay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layering 테크닉).

부작용 및 합병증

  • 반상 출혈과 혈종
  • 통증
  • 변색
  • 틴들 현상 (Tyndall effect) : 비교적 최근에 인식되기 시작한 이 현상은 필러 시술 후 그 부위가 간혹 파르스름하게 보이는 상태를 설명해준다. 특히 다크서클 부위, 즉 눈물 도랑에 주입한 경우에 볼 수 있다. 매질이 통과할 때 매질 속에 입자나 혹은 매질 자체에 의해 빛의 일부가 산란되어 빛이 지나가는 통로가 보이는 현상이다.
  • 부족 교정, 과교정
  • 세균 감염 : 예방하기 위해 시술자와 간호사가 모두 장갑을 착용하고, 시술 부위의 철저한 소독, 환자 얼굴에서 화장을 완전히 제거, 필러 주사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
  • 주사 괴사
  • 색전증과 망막 동맥 폐쇄 : 색전증은 혈관 내로 들어간 필러 물질이 혈관을 타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다가 혈관을 막는 것으로 그 근위부가 울혈되면서 그물 모양의 홍반들이 나타나기도 하고 원위부는 심할 경우 허혈되면서 괴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마나 코에서 주입된 필러가 눈꺼풀에 병변을 일으키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데, 이는 혈관으로 들어온 필러가 가까운 분지인 안쪽 눈꺼풀 동맥(medial palpebral artery)을 타고 눈꺼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안쪽 눈꺼풀 동맥은 윗눈꺼풀 동맥과 아랫눈꺼풀 동맥으로 나뉘어서 각각 주행한다. 그리고 만약 좀 더 강한 힘으로 필러가 밀려 내려간다면 앞벌집 동맥이나 뒤벌집 동맥으로 들어가고, 안와위 동맥까지 침범될 수도 있고 최종적으로는 중심 망막 동맥에 이르러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미간 쪽에서는 필러의 혈관 내 주입은 주사 괴사 뿐만 아니라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따라서 혈관 내 주입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위험 부위에서는 가급적 음압 검사 후에 주입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리고 혈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주입하는 것보다는 혈관에 어느 정도 각도로,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주입하는 것이 주사 바늘이 혈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좋은 요령이다. 강한 힘으로 한번에 푹 밀어 넣는 형태의 주사 방법은 위험하고 천천히 주입하는 것이 요령이다. 아울러 주사 바늘보다 캐뉼라가 혈관 손상이나 혈관내 주입의 가능성을 확실히 줄이는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