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당김 검사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9일 (목) 12:59 판 (새 문서: <b>강제 당김 검사 (forced duction test; FDT)</b> == 장점 == 기계적 제한으로 인한 눈운동 장애를 진단하는데 가장 유용하고 간편한 방법이다.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강제 당김 검사 (forced duction test; FDT)

장점

기계적 제한으로 인한 눈운동 장애를 진단하는데 가장 유용하고 간편한 방법이다.

검사 방법

  • 점안 마취제로 마취한 후, 손이나 눈벌리개로 눈을 벌린다.
  • 이가 있는 집게로 각막 가장자리 근처의 결막을 잡고 환자에게 마비근의 운동 방향으로 보게 한다.
  • 기계적 제한이 있다고 예상되는 쪽의 반대 방향으로 눈을 당겨 움직여본다. (예를 들어 외전 장애가 있는 내사시에서 외직근 마비와 눈의 코쪽의 기계적 제한을 감별할 때는 6시와 12시 방향의 결막을 잡고 귀쪽 방향으로 눈을 당겨본다.)

결과

저항이 없으면 마비근의 마비를 의심할 수 있고, 저항이 있으면 대항근이나 결막, 테논 주머니 구축, 근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직근이 눈의 적도 뒤에서 공막과 유착되어 있으면 수동적인 견인에서 제한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역가죽끈 효과라고 부른다. 이는 후고정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주의 사항

검사 시 눈을 누르면 거짓 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눈을 누르지 말아야 하며, 국소 마취로 검사할 때는 눈을 집게로 잡고 움직이려는 방향을 따라 보게 하여, 반대쪽으로의 눈운동으로 인한 기계적인 제한이 있는 것처럼 혼동되지 않도록 한다. 어린이나 협조가 잘 되지 않는 어른인 경우 전신 마취 하에서 수술 전 견인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