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 ICRS) 은 각막의 앞쪽 표면의 만곡도를 변화시켜 시력을 최적화하고 동시에 근시를 교정하는 것으로, Barraquier가 그 개념을 처음 발표했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PMMA로 만들어진 고리가 개발되었고, 1999년 미국 FDA는 -*00~-3.00D의 근시를 교정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 한편 고도 근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병태 생리
주변 각막층 다발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각막 중심부 아크의 길이를 감소시켜 중심부를 편평하게 만들어 근시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근시 교정의 효과는 삽입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삽입 고리의 직경이 작을수록 커진다. 난시 교정에 있어서는 고리 조각의 끝부분이 표면을 당기는 작용을 하여 이 축에 대해 추가적인 편평화 작용이 나타나고, 각막 내 삽입물이 생체역학적으로 각막에 지지 작용을 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삽입술을 받은 환자들의 각막 지형도를 보면 전반적으로 편평해진 각막과, 각막 꼭지점의 중심부쪽 이동이 나타나며, 각막의 비구면성은 보존되면서 표면의 불규칙함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류
- Intacs segment
- Ferrara ring segment
- Keraring
적응증
- 심하지 않은 근시
- 원추각막
- 전층 각막 이식 후 불규칙 난시
- 엑시머 레이저 표면 절제술 후 각막 확장증
-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 외상 후 불규칙 각막
비적응증
- 각막 곡률이 70D를 넘는 심한 원추 각막, 각막 혼탁을 동반한 원추 각막, 급성 수종
- 중심이 이탈된 각막 이식편
- 만성적으로 눈을 비비는 아토피 환자
- 감염 질환이 동반된 경우
- 국소 혹은 전신적인 자가 면역 질환이나 면역 결핍 질환이 있는 경우
- 재발 각막 진무름, 광범위한 각막 반흔, 각막 이상증 환자 등
부작용 및 합병증
- 기계적인 방법으로 수기 박리를 할 경우
- - 각막 절개창의 상피 결손
- - 삽입 통로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앞쪽 혹은 뒤쪽으로의 천공
- - 절개창의 중심부 혹은 주변부로의 확장
- - 얕아지는 삽입물의 깊이, 감염 각막염, 절개창의 벌어짐, 중심 이탈, 각막 기질의 얇아짐, 절개창이나 박리 부위의 기질 부종, 삽입물의 이탈이나 노출, 부족 교정 혹은 과교정, 각막 기질 내 침착물, 눈부심 등
-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삽입 통로를 만들 경우 : 이러한 합병증들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