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 유두 이상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0일 (금) 00:56 판 (새 문서: <b>나팔꽃 유두 이상 (morning glory disc anomaly)</b> 은 나팔꽃 증후군(morning glory syndrome)이라고도 부르며 시신경 유두의 선천 이상으로 모양이 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나팔꽃 유두 이상 (morning glory disc anomaly) 은 나팔꽃 증후군(morning glory syndrome)이라고도 부르며 시신경 유두의 선천 이상으로 모양이 나팔꽃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역학

대개 한쪽 눈, 특히 오른쪽 눈에 잘 발생하고 여자에 많다.

원인

  • 태아 안열이 닫혀지지 않아서 생기는 일종의 시신경 결손이라는 설
  • 신경교 조직 총맥, 공막과 혈관 이상, 사상판 결손, 유두 주위에 지방 조직 및 평활근 조직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중간엽의 이상이라는 설
  • 함몰된 유두의 수축 운동, 시신경 유두의 대칭적 패임 등은 안포경(optic stalk) 끝부분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서 확장되었기 때문이라는 설

관련 질환

  • 기저 뇌류(basal encephalocele) : 먼거리증, 구개열, 구순열 등과 시신경 선천 이상 등이 발견되면 기저 뇌류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 뇌하수체 호르몬 결칩 : 성장 및 갑상선 호르몬, testosteron 등을 투여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신적 검사를 시행하고 성장 상태를 주시해야 한다.
  • 뇌량의 무발생, 터키안 부근의 구열, 그 구열을 통한 수막류

증상

시력은 대체로 나쁘며 안전 수지에서부터 0.1 정도이나, 광각인지 불능부터 드물게 *0까지 다양하다.

임상 소견

시신경 유두는 크고 중앙이 뒤로 패여 있어 깔때기 같으며 색깔은 주황색으로, 포도망막 색소 이상이 약간 융기된 유두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유두의 중앙에는 신경교 조직의 총맥(tuft)이 있으며, 망막 혈관들은 일찍 분지되어 유두 주변으로 나오는데 그 수가 정상보다 많고 나와서는 바로 방사상으로 망막 주변으로 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