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형태 검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0일 (금) 02:05 판 (새 문서: <b>각막 형태 검사 (topography)</b> == 분류 == * 축 곡률 지도 (axial curvature map) : 초기부터 사용된 지도로, 축 곡률은 각막 곡률계와 비슷한 방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각막 형태 검사 (topography)

분류

  • 축 곡률 지도 (axial curvature map) : 초기부터 사용된 지도로, 축 곡률은 각막 곡률계와 비슷한 방식으로 곡률을 표현한다. 이는 각막이 구형이라는 가정 하에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가늠자의 크기를 분석한다. 축 곡률은 각막의 모양으로부터 굴절력을 표현하므로 중심이 가파르고 주변부가 편평한 각막의 prolate 모양을 잘 나타내주기 때문에, 각막의 진단 혹은 선별 목적으로 기본이 되는 지도로 여겨지고 있다.
  • 접선 곡률 지도 (tangential power map) : 각막 모양의 2차 도함수로부터 굴절률을 측정하므로 굴절력에서 수학적 소음 혹은 변동을 포함한다. 이런 미세한 변동은 각막의 진정한 광학적 성질을 모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임상적인 사용은 권장되지 안흔다. 그러나 변이 지역의 굴절력 차이를 강조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굴절 수술 후 광학부의 크기를 알아보는 데 유용하다.
  • 굴절력 지도 (refractive power map) : snell의 법칙에 의해 구해지는데, 주변부에서는 각막의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각막의 굴절력이 커진다. 이런 방식으로 굴절률을 구하면 각막 중심부보다 주변부의 굴절력이 커지는 구면 수차 현상이 일어난다. 구면 수차 측정은 비구면 인공수정체 선택에 중요하다. 원추각막이나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에서는 각막 하부가 급경사를 보이지만, 굴절력 지도에서는 주변부 굴절력이 증가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 차이 지도 (difference map) : 한 지도에서 다른 지도를 빼서 각막 지형의 변화를 보는 방법은 원추 각막의 추적 및 crosslinking 등 치료 시의 변화 혹은 굴절 수술 후의 결과 판정 등에 유용하다. 차이 지도를 보고자 할 때는 미세 신속운동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한 세심한 검사가 필요하다.
  • 높이 지도 (elevation map) : 일반적으로 기준이 되는 모양과의 관계로 표현된다. 보통 높이 정보에서 best-fitting sphere 혹은 toroidal surface를 빼게 된다. 그러나 전체 각막에서 각막에 가장 근사하는 하나의 기하학적 모양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