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 생체 현미경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5월 28일 (목) 02:08 판 (→‎정량적 측정)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초음파 생체 현미경 (ultrasound biomicroscope; UBM) 은 20~100㎛의 축 및 측면 해상도를 가진 안구 절단면 영상을 만들기 위해 주파수 범위가 25~100MHz인 초음파를 사용한다. 초음파의 주파수를 높일수록 침투는 줄어들며, 4~15mm 범위로의 침투를 제한받는다. 초음파 생체현미경은 녹내장, 전안부 종양, 안내 인공수정체 관련 문제, 외상, 공막 질환, 부속기 병리 등을 포함하는 전안부와 안 부속기의 병적인 상태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초음파 생체현미경은 비특이적 영상 방법으로서 침투 한계에 속하는 모든 병적 상태에 사용할 수 있다. 안구 표면에 위치한 각막에 대한 침투가 우수하고, 각막 아래의 전안부 대부분도 영상화할 수 있다. 높은 주파수 범위(60~80MHz 이상)의 초음파는 깊은 침투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고해상도가 필요한 각막 검사에 주로 사용된다.

정상 구조

섬모체는 검사 위치에 따라서 섬모체 돌기가 나타나기도 하고 골짜기가 보이기도 하여 형태가 다양하다. 홍채 뿌리의 후면과 섬모체 전면이 만나서 이루는 후방의 섬모체 고랑이 뚜렷하게 보인다. 공막 돌기는 가장 중요한 표지가 되는 구조로 섬모체의 가장 앞부분이 부착하고 있고 약간 돌출한 모양을 보인다. 전방각 주위의 구조를 측정할 때 기준점이 된다. 전방각저는 홍채 뿌리와 섬모체 앞면 및 공막 돌기로 골짜기를 이루고 있으며 섬모체 고랑과는 홍채 뿌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홍채는 뿌리에서 동공연까지 대체로 편평하게 진행한다. 이외에 섬모체 돌기와 수정체 적도부를 연결하는 섬모체 소대를 볼 수 있다. 쉴렘관도 가끔 관찰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너무 작아서 나타나지 않는다.

녹내장 관련 소견

  • 상대적 동공 차단 : 동공연에서 홍채와 수정체 전면의 접촉으로 상대적 동공 차단이 있으면 후방의 압력 증가로 홍채 주변부가 전방쪽으로 볼록한 모습을 보여준다.
  • 고원 홍채가 있는 폐쇄각 녹내장 : 섬모체 돌기가 정상보다 앞쪽으로 위치하여 홍채 뿌리를 떠 받쳐서 전방각 쪽으로 밀어 붙이는 형태를 취하고 섬모체 고랑을 볼 수 없는 것이 특징적 소견이다.

이 외에도 홍채 또는 섬모체의 낭종, 전방각 후퇴시의 섬모체 층간 분리, 색소 분산 증후군에서 섬모체 소대와 홍채와의 관계, 섬모체 해리에서 공막 돌기에서 분리된 섬모체 등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정량적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