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 분산 증후군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2일 (목) 13:59 판 (새 문서: 색소 분산 증후군 (pigment dispersion syndrome; PDS) 은 안구 전반부에 색소의 비정상적인 분산이 있으나 아직 녹내장이 동반되지 않은 상태를 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색소 분산 증후군 (pigment dispersion syndrome; PDS) 은 안구 전반부에 색소의 비정상적인 분산이 있으나 아직 녹내장이 동반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병태 생리

Campbell은 주변부의 함몰된 홍채가 전반부 섬모체 소대에 의하여 마찰됨으로써 색소가 유출된다고 주장하였고, 이 가설은 전방이 깊고 렌즈 전면이 편평한 경우 색소 녹내장이 잘 발생하고 렌즈가 두꺼워지는 노년에서 색소 녹내장 발생이 줄어드는 역학적 특징과 홍채의 투과 결손이 수정체 전반부-섬모체 소대 pocket의 분포와 일치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뒷받침된다. Sugar는 수정체막 그 자체에 의하여서도 마찰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고도 근시 등 고위험군에서 모두 색소 분산 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색소 분산 증후군을 가진 모든 환자에서 색소 녹내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전방각의 발생학적 이상으로 녹내장이 발생할 소인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과도한 색소 분산으로 인해 섬유주 세포 및 섬유주 조직의 변화 및 손상에 의해 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원발 개방각 녹내장의 한 변형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위험 인자

남자, 흑인, 고도 근시 및 Krukenberg spindle이 있을 경우 더 위험성이 높다.

예후

시간이 경과하며 안압이 증가하면서 색소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