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눈물관 폐쇄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9일 (월) 05:59 판 (새 문서: <b>코눈물관 폐쇄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b> 는 넓게는 눈물길의 폐쇄를 통칭한다. == 증상 == 눈물 배출 장애 환자들은 눈물 흘림을 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코눈물관 폐쇄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는 넓게는 눈물길의 폐쇄를 통칭한다.

증상

눈물 배출 장애 환자들은 눈물 흘림을 주소로 안과를 찾아오게 된다. 눈물이 많으면 보이는 사물이 흐려지고 뺨으로 흘러 넘치게 되어 환자들은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눈물길의 폐쇄로 눈물 주머니에 화농성 분비물이 차게 되면 특히 아침에 눈곱이 많이 끼며 환자들은 눈물 주머니를 눌러 분비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기도 한다.

폐쇄의 해부학적 위치

눈물 흘림은 눈부터 코까지의 배출 경로 중 어느 곳에라도 문제가 있으면 생길 수 있다.

  • 눈물점 : 눈물점이 폐쇄되어 있거나 겉말림되어 있으면 눈물이 눈물길로 들어가지 못한다. 눈꺼풀 겉말림이 오래되거나, 여러가지 후천적 원인에 의해 눈물점 협착이 생길 수 있따.
  • 눈물소관 : 바이러스 감염이나 phospholine iodide, eserine 과 같은 점안 약제에 의해 눈물소관의 협착이 생길 수 있으며, 5-FU, docetaxel, idoxuridine과 같은 전신 항암제는 눈물로 분비되어 눈물소관 내에서 염증과 반흔을 일으켜 눈물소관 협착을 유발할 수 있다. 눈물소관은 actinomyces나 진균 감염에 의한 눈물 주머니 결석으로 막힐 수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