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3월 17일 (수) 04:58 판 (새 문서: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Contex OK lens) == 교정 원리 ==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sphericalization : 각막을 구와 같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Contex OK lens)

교정 원리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sphericalization : 각막을 구와 같은 모양으로 변화시킴) 근시 및 난시를 교정하게 된다.

구조

일반 RGP 렌즈는 중심부와 주변부 2개의 커브를 가지고 있지만, 각막 교정 렌즈

  • BC (base curve) : 광학 중심부
  • FC (fitting curve) : 렌즈를 각막에 밀착시킴
  • AC (alignment curve) : 렌즈의 중심 위치를 잡아줌
  • PC (peripheral curve) : 눈물 순환을 도와줌

의 네 개의 커브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작용하여 시력 교정 효과를 극대화 한다.

적응증

  • 기존의 콘택트렌즈가 불편한 환자
  • 안경 착용이 어려운 특수 직업인 (연예인, 운동 선수, 조종사, 소방관, 비행 승무원, 예술인)
  • 먼지나 바람이 많은 환경에서 일하는 환자
  • 고도 근시로 근시 교정 수술 후 시력이 불완전한 환자

처방

flat K (FK) 선택

두 경선의 K값 차이, 즉 각막 난시가 1.0D 정도이면 flatter meridian 즉 K값의 수치가 적은 쪽을 FK로 한다. 예 : K = 43.00 / 44.00 → FK = 43.00 그러나 난시가 1.0D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는 FK를 조정한다. 예 : K = 43.00 / 44.50 → FK = 43.25 (또는 43.00) K = 43.00 / 43.50 → FK = 42.75 (또는 43.00)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