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안충
Thelazia는 13종으로 분류되어 있고, 그 중 인체 기회 감염을 일으키는 종류로는 동양안충 (Thelazia callipaeda) 또는 Thelazia californiensis 가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한국에서는 주로 동양안충이 발견되고 있다. 두 종은 자충 음문의 위치, 웅층의 후단부 유두, 체표의 주름 등으로 구별 가능하다[1][2].
역사
동양안충의 인체 감염은 1917년 Stuckey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4년 Nakata9에 의해 보고되었다.
감염 경로
동양안충은 개, 고양이, 소, 말 등이 주된 숙주이며, 파리, 초파리 등이 중간 숙주로 하여 감염을 시키고 인간에게는 기회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동양안충은 뾰족한 돌기, 가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안구 안쪽으로 침투가 어렵지만 전방, 유리체 등에서도 드물게 기생충이 발견된 예가 있어 결막염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안구 내 수술 시 주의해야 한다[5].
증상
주로 결막낭에 위치하며 이물감, 결막 충혈, 통증, 가려움증,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가벼운 결막염, 눈꺼풀염에서 심하면 각막염, 각막 궤양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6][7]. 1917년 Trimble[8]이 아래눈꺼풀 마비,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하는 경우를 보고한 바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한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9].
혈액 검사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대부분 정상 소견을 보이지만 몇몇 안구 내 침범을 한 증례에서 호산구가 증가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치료
결막낭에 국한된 경우 점안 마취 하에 충체를 제거하는 것이며, 충란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식염수로 충분히 세척해 주어야 한다. 만약 제거가 힘들 경우에는 diethylcarbamazine 경구 투여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10]. 제거 후 증상이 호전되었을 때 후유증은 남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충의 수명은 12개월로 충분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11].
참고
- ↑ Burnett HS et al. Observation on the life cycle of Thelazia californiensis. J Parasitol 1957;43:433-8.
- ↑ Choi WY et al. SEM observations of Thelazia callipaeda from human. 기생충학 잡지. 1989 Sep;27(3):217-23. 연결
- ↑ Seo M et al. Enzooticity of the dogs, the reservoir host of Thelazia callipaeda, in Korea. Korean J Parasitol. 2002 Jun;40(2):101-3. 연결
- ↑ Nakata R. Study on Thelazia callipaeda. Jpn J Parasitol 1964;13:600-9.
- ↑ Zakir R et al. Intraocular infestation with the worm, Thelazia callipaeda. BJO. 1999 Oct;83(10):1194-5. 연결
- ↑ Otranto D et al. Biology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eyeworms in naturally infected definitive hosts. Parasitology. 2004 Nov;129(Pt 5):627-33. 연결
- ↑ Otranto D et al. Thelazia eyeworm : an original endo- and ecto-parasitic nematode. Trends Parasitol. 2005 Jan;21(1):1-4. 연결
- ↑ Trimble CG. Circumocular filariasis. China Med J 1917;31:266.
- ↑ 이여진 외,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한 동양안충의 인체 감염, JKOS. 2020;61(3):294-297 연결
- ↑ Kim HT et al. A case of Oguchi's disease. JKOS 1990;31:105-9.
- ↑ Choi DK et al. A case of human Thelaziasis concomitantly found with a reservoir host. JKOS 1978;19:1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