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비늘 녹내장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8일 (금) 04:02 판 (→‎임상 소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거짓비늘 녹내장 (pseudoexfoliation glaucoma; PXG)[1]

역학

거짓 비늘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서 모두 녹내장이 유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발생률도 보고에 따라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는 약 40%에서 녹내장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병태 생리

개방각 녹내장은 방수 유출 부위의 거짓 비늘 물질 생성, 섬유주 내피세포 손상, 그리고 전안부에서 만들어진 거짓비늘 물질과 색소의 수동적인 침착에 의해 생긴다. 색소 분산은 녹내장의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거짓비늘 침착으로 인한 거친 수정체막에 홍채 상피세포가 마찰되어 발생하거나 홍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색소 분산으로 생각되고 있다.

분류

  • 개방각 녹내장 : 대부분
  • 폐쇄각 녹내장 : 드물게 보이는데, 23~32% 까지도 좁은 전방각이나 폐쇄각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2][3]. 홍채뒤 유착, 섬모체 소대의 약화와 연관된 수정체의 운동, 홍채 경직도의 증가, 작은 동공 등과 연관된 폐쇄각 녹내장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임상 소견

원발 개방각 녹내장보다 안압이 더 높고, 하루 변동이 심하며, 갑작스러운 안압 상승이 흔히 일어난다[4]. 또한,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의 진행이 빠르며[5], 안압 하강제에 잘 반응하는 기간이 짧고 결국 안압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6].

비수술적 치료

PG 계통 약물에 반응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수술적 치료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에 비교적 잘 반응하고, 백내장 수술로 안압이 낮아진다는 보고도 있으며 녹내장 수술로는 섬유주 절제술이 추천된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Ritch R. Exfoliation syndrome and occludable angles. Trans Am Ophthalmol Soc. 1994;92:845-944. 연결
  3. Bartholomew RS. ACD in eyes with PXS. Br J Ophthalmol. 1980 May;64(5):322-3. 연결
  4. Olivius E et al. Prognosis of glaucoma simplex and glaucoma capsulare. A comparative study. Acta Ophthalmol (Copenh). 1978 Dec;56(6):921-34. 연결
  5. Heijl A et al. Natural history of OAG. Ophthalmology. 2009 Dec;116(12):2271-6. 연결
  6. Futa R et al. Clinical features of capsular glaucoma in comparison with POAG in Japan. Acta Ophthalmol (Copenh). 1992 Apr;70(2):214-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