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메막 박리
데스메막 박리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DMD)[1]
병인
각막 절개부 위나 손상에 의해 발생한 데스메막의 구멍을 통해 데스메막 앞쪽 공간에 물이 차면서 발생하게 된다. 분리된 막의 앞부분에 위치한 각막실질에 부종이 생기게 된다.
원인
자연적으로 박리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안내 수술, 특히 백내장 수술이나 외상으로도 발생하며[2], 알칼리에 의한 화학 손상에 의해서도 발생하게 된다.
치료
작은 병변의 경우 스테로이드와 과삼투압 제재의 안약을 사용하며 경과 관찰할 경우 자연스럽게 다시 부착되나[3][4], 큰 병변의 경우 시력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처치는 매우 중요하다. 수술적으로 유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전방 내 공기, 점탄 물질, C3F8[5], SF6[6] 가스를 주입하여 부착시키는 것을 시도할 수 있고, 각막 봉합을 통해 유착을 시킬 수도 있다.
C3F8이나 SF6의 경우 공기에 비해 각막 내피에 대한 독성이 더 적으며, 전방 내 머무르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한 14% C3F8 가스의 경우 팽창하는 작용이 적기 때문에 안압 상승의 부작용이 적어 안전한 편에 속한다[7].
참고
- ↑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 ↑ Singhal D et al.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Surv Ophthalmol. 2020 May-Jun;65(3):279-293. 연결
- ↑ Iradier MT et al. Late spontaneous resolution of a massive detachment of Descemet's membrane after PE. JCRS. 2002 Jun;28(6):1071-3. 연결
- ↑ Minkovitz JB et al. Spontaneous resolution of an extensive detachment of Descemet's membrane following PE. Arch Ophthalmol. 1994 Apr;112(4):551-2. 연결
- ↑ Macsai MS et al. Repair of DMD with perfluoropropane (C3F8). Cornea. 1998 Mar;17(2):129-34. 연결
- ↑ Koh JW et al. A case of total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treated by non-expansible SF6 gas infusion. JKOS 2002;43:2598-602.
- ↑ Shah M et al. Repair of late DMD with perfluoropropane gas. JCRS. 2003 Jun;29(6):1242-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