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드너 증후군
가드너 증후군 (Gardner's syndrome) 은 1953년 가드너 등[1]이 처음 보고하였다.
유전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임상 양상
- 가족성 대장 용종
- 연조직의 이상
- 골격계의 과오종
- 치아 발육 이상
- 선천 색소상피 비대증 (CHRPE) : 가드너 증후군에 동반된 CHRPE 소견은 1980년 Blair 등[2]에 의해 처음 보고된 바 있으며, 그 후 여러 저자들의 보고가 있었다8 - 1 2 ). Elias 등[3]은 가드너 증후군 34명 중 18명이 CHRPE 소견보였으며 18명 중 16명에서 소대장 선종성 용종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 ↑ Gardner EJ et al. Multiple cutaneous and subcutaneous lesions occurring simultaneously w hereditary polyposis and osteomatosis. Am J Hum Genet. 1953 Jun;5(2):139-47. 연결
- ↑ Blair NP et al. Hypertrophy of the RPE a/w Gardner's syndrome. AJO. 1980 Nov;90(5):661-7. 연결
- ↑ Traboulsi EI Iet al. Prevalence and importance of pigmented ocular fundus lesions in Gardner's syndrome. NEJM. 1987 Mar 12;316(11):661-7.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