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6일 (수) 14:05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원시 (hypermetropia)

역학

영유아에서 가장 흔한 굴절 이상으로, 생후 3개월 무렵 정상 영아는 평균 +2.16 D 의 원시를 가지고 있다[1]. 신생아의 75%가 가지고 있는 평균 +2.00D의 원시는 생후 1-3년 동안 빠르게 감소하여 정시화된다. 하지만 2-8% 의 소아에서는 이러한 영아기의 정시화에 실패하여 원시가 지속된다.

분류

  • 경도 (mild) : < +2.0 D
  • 중등도 (moderate) : +2.0 ~ +5.0 D
  • 고도 (high) : > +5.0 D

고도 원시

영아의 5~6% 에서는 +3.50 D 이상의 원시가 있고, 학동기 아동의 1.5~2.0% 는 고도 원시를 가지고 있다[2][3]. 지속적인 +3.50 D 이상의 원시는 사시 발생 위험을 13배, 약시 발생 위험을 6배 높여 시력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눈피로, 조절 장애, 입체시 저하, 독서 장애와 같은 시각적인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생후 31-48개월 소아의 경우,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Preferred Practice Pattern 에서는 +4.00D가 넘는 원시가 있으면 명확한 내사시나 굴절부등이 없더라도 약시 발생 위험이 높아 안경 처방을 권고하고 있다. 4 하지만 원시를 안경으로 교정하면 망막에 맺힌 흐린 상이 유발하는 정시화에 대한 필요가 줄어들어 정시화가 덜 일어난다는 보고들이 있다[4][5]. 따라서 시력 발달을 위해 안경교정이 필요한 +4.00D 이상의 원시 환아는 안경을 착용할 경우 이러한 정시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소아 원시의 교정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
1세 미만 1~2세 2~3세 3~4세
동등시 (isometropia)
근시 ≥ 5.00 D ≥ 4.00 D ≥ 3.00 D ≥ 2.50 D
원시 (사시 없음) ≥ 6.00 D ≥ 5.00 D ≥ 4.50 D ≥ 3.50 D
내사시를 동반한 원시 ≥ 2.00 D ≥ 2.00 D ≥ 1.50 D ≥ 1.50 D
난시 ≥ 3.00 D ≥ 2.50 D ≥ 2.00 D ≥ 1.50 D
사시가 없는 부등시 (anisometropia)
근시 ≥ 4.00 D ≥ 3.00 D ≥ 3.00 D ≥ 2.50 D
원시 (사시 없음) ≥ 2.50 D ≥ 2.00 D ≥ 1.50 D ≥ 1.50 D
난시 ≥ 2.50 D ≥ 2.00 D ≥ 2.00 D ≥ 1.50 D

정시화

정시화는 눈의 광학적 구성요소들이 능동적, 수동적으로 굴절이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성장하는 과정으로서, 원시는 이러한 정시화를 통해 그 빈도와 정도가 감소한다.

참고

  1. Mutti DO et al. Axial growth and changes in lenticular and corneal power during emmetropization in infants. IOVS. 2005 Sep;46(9):3074-80. 연결
  2. Atkinson J et al. Infant hyperopia: detection, distribution, changes and correlates-outcomes from the cambridge infant screening programs. Optom Vis Sci. 2007 Feb;84(2):84-96. 연결
  3. Atkinson J et al. Two infant vision screening programmes :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strabismus and amblyopia from photo- and videorefractive screening. Eye (Lond). 1996;10 (Pt 2):189-98. 연결
  4. Atkinson J et al. Normal emmetropization in infants with spectacle correction for hyperopia. IOVS. 2000 Nov;41(12):3726-31.연결
  5. Ingram RM et al. Emmetropisation, squint, and reduced VA after treatment. BJO. 1991 Jul;75(7):414-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