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 변성 (망막)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6일 (월) 01:49 판 (새 문서: 망막 격자 변성 (lattice degeneration) == 역학 == 주변부 망막 변성의 가장 흔한 형태로 발병률이 6~8%이다. 인종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1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망막 격자 변성 (lattice degeneration)

역학

주변부 망막 변성의 가장 흔한 형태로 발병률이 6~8%이다. 인종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10대에 대부분의 병변이 나타난다. 한 눈에 격자 변성이 있는 경우 반대 눈에도 병변이 있는지 검사가 필요한데 약 50% 이상에서 양안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망막 박리를 유발할 수 있으며 망막 박리의 약 20~30%에서 격자 변성이 발견된다. 하지만 격자 변성이 있는 눈의 0.3~0.5%에서 박리가 발생하므로 격자 변성이 있는 눈에서 망막 박리는 드물다고 하겠다.

위험 인자

근시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안축장이 길면 길수록 격자 변성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나 이와 반대로 6 디옵터 이상의 근시에서는 안축장이 긴 눈에서 오히려 격자 변성의 빈도가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중등도의 근시에서 많이 관찰된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28mm 이상의 고도 근시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