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유리체 (vitreous)[1]
구성
유리체/구성 참고
구조
투명한 구 형태로 이루어진 젤 성분의 구조물로서 안구의 뒤쪽 4/5를 차지하며, 전체 용적은 4.0~4.5 mL, 무게는 4g 이다. 유리체는 구형이나 안구축 방향으로 약간 길쭉하고 상하 방향으로 평편하며, 앞쪽은 수정체 후면에서 컵모양 함몰을 이루며 이를 patellar fossa (Berger space) 라고 부른다. 유리체의 직경은 정시에서 수정체 후면인 patellar fossa로부터 앞뒤로 16.5 mm 이다[2].
중심 유리체
유리체 중심부 공간으로, 유리체 기저에서 후극부까지 앞뒤방향인 장축으로 길게 이어져 있는 저 농도의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가 거의 없는 공간이다.
유리체 기저
거상연을 중심으로, 거상연 앞쪽 1.5~2 mm 의 섬모체 평면부와 거상연 후부 3~4 mm까지의 망막 영역을 합친 3~6 mm의 유리체 공간으로 콜라겐 섬유가 가장 고농도로 조밀히 모여 있고, 유리체세포 (hyalocyte) 가 가장 많이 존재하며, 유리체가 가장 강하게 유착된 유리체-망막 경계부이다. 나이가 들수록 유리체기저의 뒤쪽 경계부는 더 후극부 쪽으로 확대되며, 비측에 비해 이측 망막 영역에서 경계부가 더 후극부 쪽으로 위치해 있다.
유리체 피질
중심유리체를 둘러싸는 껍질 같은 막 형태의 구조물로, 두께가 100-300㎛ (후유리체피질 100~110㎛) 정도로 균일하고, 콜라겐 농도가 높고, 전부 및 후부 유리체 피질로 나뉘어진다. 유리체 피질 내에는 유리체세포가 주로 포함되어 있는데,내경계막에서 20~50㎛에 위치한 유리체 피질층에 주로 위치한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기능
미세한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중심부에 세포나 거대 분자가 적어 망막까지 투명한 매질을 유지하며, 수정체 주변의 다량의 아스코르브산에 의한 항산화 작용으로 수정체의 투명도를 유지시킨다. 유리체는 또한 망막 등에 필요한 물질 또는 안내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노폐물의 저장소 역할을 한다. 유리체는 콜라겐-히알루론산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통해 외부 압력에 대한 저항, 외부 충격에서 안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점탄성에 의한 유리체의 느린 움직임은 상하좌우로의 측면 움직임이나 회전 움직임 등의 평상시 안구 움직임 때에도 유리체가 부착하는 안내 구조물에 기계적인 힘이 덜 가해지도록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