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공 망막박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5일 (금) 03:5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열공 망막박리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1] 는 망막 전층의 열공으로 생기는 망막박리이다. 열공 망막 박리에서는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해 열린 상태로 있는 망막 열공을 통하여 액화된 유리체겔이 망막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발생 기전

망막 열공 (tear) 은 흔히 유리체-망막 견인과 연관되고, 반면에 원공 (hole) 은 국소적인 망막 위축 또는 퇴행과 관련되어 있다[2][3][4]. RRD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액화된 유리체 젤이 있고
  • 열공의 주변에 있는 망막을 당기는 견인력
  • 액화된 유리체를 망막하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열공의 존재

이 세 가지 모두가 망막 박리를 일으키는 데 필요하다. 가령, 열공이나 원공이 견인력이 없거나 액화된 유리체가 없는 상태에서 존재한다면 망막 박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나이가 적을수록 빈도가 낮게 나타나는 사실에서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사후 안조직 검사에서 안구의 5~10%에서 열공만 존재하고 박리가 관찰되지 않은 사실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5].

후유리체 박리

RRD의 기전으로 중요한 것이 후유리체 박리 (PVD) 이다. 나이가 들수록 유리체젤은 해중합과 침강을 일으켜 액화된다[6]. 액화되면서 유리체젤의 부피는 감소 되면서 콜라겐 섬유소계도 줄어들고 서로 응집되어진다. 액화된 유리체젤은 서로 합쳐져서 큰 동공 (lacuna)을 이루고 후유리체박리와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7]. 유리체가 계속 수축되면서 유리체는 황반부 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일단 유리체가 분리되면 급속히 망막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하지만 앞쪽으로는 유리체 기저 부위에 환상으로 붙어 있고 뒤쪽으로는 시신경 유두 부위에 여전히 붙어 있어 유리체 박리는 깔때기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후, 시신경 유두 부위에서도 분리되어 유리체강 내에 떠다니는데 이것이 바이스 고리 (Weiss ring) 이다.

유리체의 액화와 PVD의 정도는 모두 나이와 관련이 있다[8]. 액화된 유리체는 40세 이상인 환자의 90% 이상에서 세극등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9]. PVD는 60~90세 환자의 27%에서 발견되고 70세 이상의 63%에서 발견된다[8].

원인

후유리체 박리

망막 열공

근시

외상 및 수술

맥락망막 결손

맥락막이나 망막 결손증의 바깥이나 안쪽에서 망막 열공이 생겨 RRD가 생길 수 있다. 발견되지 않은 망막 열공의 빈도는 매우 높다. 망막박리가 수정체 결손증의 합병증으로도 생길 수 있다. 이때는 주로 거대 망막 열공이 흔하다.

노인성 망막 층간분리

망막 층간분리증의 두 종류 중에 전형적 퇴행성 망막층간 분리증 (typical degenerative retinoschisis) 보다는 망상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증 (reticular degenerative retinoshcisis) 에서 신경망막 외층에 열공이 생길 위험성이 높다.31 그러나 이러한 열공은 국소적 망막박리가 생기며 후극부까지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Byer NE. Clinical study of retinal break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7 May-Jun;71(3):461-73. 연결
  3. Byer NE. Prognosis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Arch Ophthalmol. 1974 Sep;92(3):208-10. 연결
  4. Byer NE. The natural history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Ophthalmology. 1982 Sep;89(9):1033-9. 연결
  5. OKUN E.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in autopsy eyes. III. Retinal breaks wo RD. AJO. 1961 Mar;51:369-91. 연결
  6. Sebag J. Ageing of the vitreous. Eye (Lond). 1987;1 (Pt 2):254-62. 연결
  7. Heller MD et al. Detachment of the posterior vitreous in phakic and aphakic eyes. Mod Probl Ophthalmol. 1972;10:23-36. 연결
  8. 8.0 8.1 Steinberg RH. Research update : report from a workshop on cell biology of RD. Exp Eye Res. 1986 Nov;43(5):695-706. 연결
  9. Gonin J. Pathogenie et anatomie pathologique des decollements retiniens. Bull Mem Soc Ophthalmol 19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