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척수액 비루
뇌척수액 비루 (cerebrospinal fluid rhinorrhea; CSF rhinorrhea)
역학
안와 상벽 골절, 코뼈-안와뼈-벌집뼈 골절 등 벌집굴의 천정부인 체모양판(cribriform plate)과 종이판의 골절에서 주로 빌생한다.
임상 소견
대부분의 환자에서 외상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히며, 지속적으로 맑은 분비물이 코 안에서 관잘되고, 목을 굽히거나 경정맥을 압박할 때 분비물이 증가하면 의심하여야 한다.
검사 및 진단
혈액이 섞인 뇌척수액을 여과 종이에 떨어뜨렀을 때 중앙 부위에는 혈액에 의해 착색된 부위가, 주변으로 맑은 뇌척수액에 의해 착색된 부위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한 수 있다(halo 또는 double ring sign). 뇌척수액 비루의 확진을 위해서는 분비물의 포도당 농도 검사(30 mg/ml 이상), β2 transferrin 분석 등을 시행한다.
예후 및 합병증
대부분의 경우에 2주 이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뇌믹염이나 뇌농양이 발생할 위힘성이 있으며, 특히 두개강내에 공기가 관찰되는 경우에 합병증의 위험성이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