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OS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6일 (월) 05:4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Central Vein Occlusion Study (CVOS)

목적

  • 광응고술이 허혈이 있는 망막 중심정맥 폐쇄 환자에서 홍채 신생혈관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지 알기 위해
  • 격자 광응고술이 망막 중심정맥 폐쇄 환자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중심 시력 저하를 줄일 수 있는지 알기 위해
  • 망막 중심정맥 폐쇄의 경과 및 예후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대상 및 방법

전향적 다기관 연구로 2개의 자연경과 관찰군과 2개의 무작위 비교 임상시험군이 포힘되어 있으며,725명(72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은 다음과 같이 네 집단으로 나누었다.

  • 비관류군 (nonperfused) : 광범위한 망막 허혈이 있는 눈에서(비관류 부위가 적어도 10 유두직경 이상)는 경과 중 홍채 신생혈관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무작위로 범망막 광응고술군과 비치료군으로 나누었다.
  • 황반 부종군 (macular edema) : 황반부종에 의해 시력이 떨어진 군은 무작위로 격자 레이저군과 비치료군으로 나누었다.
  • 관류군 (perfused) : 비교적 관류가 잘되는 군에서는 질병의 자연 경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과 관찰하였다.
  • 불확정군 (indeterminate perfusion) : 망막 출혈 때문에 망막 상태를 정확히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는 자연 경과를 알기 위해 경과 관찰하였다.

결과

46 명의 불확정군 중, 83% 에서 10 유두직경 이상의 비관류가 있거나(28안), 망막 상태 평가가 가능하기 전에 홍채나 우각에 신생혈관이 발생하얐다(10안). 4개월째 정보가 있는 522안의 관류군 중, 30%가 4개월 이하에서 홍채나 우각에 신생혈관이 발생하였고, 추기로 51안에서 10 유두직경 이싱의 비관류가 발생하였다.
황반 격자 레이저는 황반 부종을 줄일 수는 있었지만, 비치료군보다 더 좋은 시력 결과를 제공하지는 못했다.
에빙적 범망막광응고술은 우각신생혈관이나 2시간 이상의 홍채 신생혈관의 발생을 줄일 수 있지만, 신생혈관 발생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었다. 범망막 광응고술에 의한 즉각적인 우각 및 홍채 신생혈관 퇴행은 이전에 치료를 받지 않았던 군에서 더 잘 일어났다.
자연 경과 및 레이저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3년 경과 관찰한 725명의 정보를 분석하였다. 초진 시 시력은시력이 좋은군(20/40 이상) 혹은 시력이 나쁜군(20/200 이하)에서 3년간의 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예측 인자였다. 또한 홍채 혹은 우각 신생혈관 발생에 대한 강력한 예측 인자였다. 초진 시 관류군의 1/3 이 3년간 경과 관찰 중 비관류군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예방적 범망막 광응고술은 중심 망막정맥 폐쇄 환자에서 홍채 신생혈관이나 우각 신생혈관의 발생을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했다. 레이저 치료 후 신생 혈관의 즉각적인 퇴행은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군에서 더 잘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몇 달간은 비산동 상태에서 홍채 및 우각검사를 포함한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하여 신생혈관 발생 시 즉각적인 범망막 광응고술을 시행할 것을 권유한다. 황반 격자 레이저는 중심 망막정맥 폐쇄에 동반된 황반 부종에서 시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