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눈모음
휴식, 안정 상태에서 눈의 해부학적 위치는 약간의 눈벌림 상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깨어있을 때 눈의 생리적 위치는 이보다 더 눈모음 상태이다. 이렇게 휴식 상태의 눈위치에서 깨어있는 상태의 눈 위치로 변화시키는 운동을 긴장 눈모음 (tonic convergence)[1]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기전
긴장 눈모음은 외안근의 긴장도로부터 얻어진다. 긴장 눈모음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단지 이론의 산물인지 논란이 많다. 그러나 비조절 눈모음 과다 내사시, 즉 근거리 내사시각이 원거리 내사시각보다 크고, 조절 눈모음비 (AC/A비) 는 정상이거나 낮은 내사시는 단지 과다한 긴장 눈모음의 존재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2].
또 여러 번 수술해도 계속 재발되는 내사시 역시 긴장 눈모음의 과다로 설명할 수 있다[3]. 그러므로 임상적으로 긴장 눈몽므은 유용하고 필요한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