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시 상전

내전시 상전 (elevation in adduction)

역학

한눈 혹은 두눈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원인

  • 하사근 기능 항진 : 일차 하사근 기능 항진, 이차 하사근 기능 항진
  • 직근 pulley의 위치 변동
  • 눈 또는 안와의 회선 : 외회선은 사근에 대한 신경 분포의 증가가 없어도 내전시 눈의 상전을, 외전시 하전을 일으킬 수 있다. 외회선되었을 때 내직근은 더 이상 순수한 내전근이 아니고 상전근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이 상황에서 내직근이 수축하게 되면 내전 뿐 아니라 상전을 하게 된다.
  •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
  • 해리 수직 편위 : 내전된 위치에서 코에 의해 융합이 깨지면서 눈이 상전할 수 있다.

병태 생리

동향 운동에서 눈이 내전되면서 상전하며, 내전 후 최대 상전된 위치에서도 정상안에 비해 더 많이 올라간다. 두눈인 경우 오른쪽 주시 중 왼눈 상사시, 왼쪽 주시 중 오른눈 상사시가 발생하고 제일 눈위치에서 수직 편위가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내전시 눈의 상전은 독립된 현상으로 나타나거나 내사시 혹은 외사시와 함께 발생할 수 있으며 흔히 V형과 연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