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매독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눈 매독 (ocular syphilis)[1]

임상 소견

결막, 공막, 각막, 수정체, 포도막, 망막, 망막혈관, 시신경, 동공 운동신경 전달 경로, 외안근을 조절하는 뇌신경계 등을 침범할 수 있으며 매독의 어떤 단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다.

포도막염

임상 소견 중 가장 흔하며 전안부, 후안부 혹은 양쪽 부위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중간 포도막염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앞포도막염 : 홍채 결절, 확장된 홍채 혈관, 홍채 위축, 홍채 후부 유착, 수정체 탈구
  • 뒤포도막염 : 유리체 염증, 망막혈관염, 맥락망막염, 시신경염, 장액 망막박리 등이 있다

치료

확립된 치료법은 없으나 가능한 빠른 시기에 매독균에 대해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감염내과 전문의와 협진하여 penicillin G 18~24 MU을 10-14일 동안 정맥내로 주사한다[2].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Workowski KA et 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D treatment guidelines, 2015. MMWR Recomm Rep. 2015 Jun 5;64(RR-03):1-137.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