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간질

맥락막 간질 (choroidal stroma) 은 여러 가지 세포,교원질 섬유 및 신경 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관은 동맥,정맥이 모두 분포하며 정맥이 더 많다. 동맥은 서로 문합을 이루며 점점 크기가 작아져서 맥락막 모세혈관을 형성한다. 크게 두 개의 혈관층이 존재하는데,하나는 할러층(Haller's layer)이고,다른 하나는 지틀러층(Sattler's layer)이다. 큰 혈관층인 할러층은 바깥층으로서 (40~90㎛),멜라닌세포,섬모체 신경 섬유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할러층에 있는 동맥은 전형적인 작은 동맥들로서 내탄성판 (internal elastic lamina)과 평활근을 갖 고 있다. 이 층은 맥락막모세혈관층과 딜리 구멍(fenestration)이 없어서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플루례신이 혈관 밖으로삐져나오지 않는다. 할러층안쪽으로백락박의 중간에 위치한자틀러층은중간 크기의 혈관층으 로, 동맥에서 세동맥으로 이행하며 역시 구멍이 없다. 자툴러층의 바깥쪽으로 분할평면이 존재하기도 하며 이를 간질틈Gnterstitial slit)이라고 한다 이것에 의해 안쪽의 중간 크기의 혈관층과 바깥쪽의 큰 혈관층의 맥락막으로 니눌 수 있으며, 실제로 해부학적인 분할평 면으로 관찰되기도 한다. 간질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세포는 멜라닌세포와 섬유아세포다. 멜라닌세포는 맥락막모세혈관과 자들러 층에는 거의 없고, 맥락막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정점에도 색소가 많이 분포하 므로맥락막 망막색소상피는색소가양쪽에 있고, 그사이에 혈관에 있는, 혈관샌드위치라할수있다 즉, 모 세혈관과 중간 크기의 혈관층이, 신경상피에서 유래된 망막색소상피의 색소와 신경릉(neural crest)에서 유래 된 바깥쪽의 맥락막색소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는 형태인 것이다. 임상적으로도 맥락막모세혈관에는 색소 가 없기 때문에 여기에서 생긴 맥락막신생혈관의 레이저 광응고술을할때 불리하며, 혈관의 크기와색소분포 로 인해 맥락막을 영상화하거나 치료할 때 맥락막의 비깥쪽에 더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교원질섬유는 간질을 지탱하는 골격 역할을 하나 규칙적인 배열을 하지는 않는다. 간질에는 많은 신경절세 포가 주로 바깥쪽에 존재하며,신경층은 굉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층을 이루고 있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