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BAC)[1] 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보존제이며 점안제의 약 70% 정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효과
항균성을 가진 수용성의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cationic surfactant) 로서 세균을 사멸하고 약제의 각막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2].
부작용
과산화수소로 분해되고 이는 각막 및 결막 상피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통한 세포 독성과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상피세포의 tight junction을 파괴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각막 및 결막 상피를 손상시키고 각막 상피 사멸세포수를 유발한다[3][4]. 이로 인해 결막 술잔세포는 감소하여[5], 이차적으로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발생하게 되고,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L-6, 8, 10 등의 상피 내의 염증 매개 인자들이 증가하여 이는 또다시 눈물막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3][6]. 이로 인해 안구 불편감, 눈물막 불안정성, 술잔 세포 소실, 결막 편평상피화생, 상피세포 자멸, 결막하 섬유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 보존제가 들어 있는 용액을 사용한 후 심각한 각막 부종과 각막 내피세포 손상이 일어났다는 보고가 여러 차례 있었다. 더욱이 BAK는 점탄 물질의 보존제로 사용될 때 심한 각막 부종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 낮은 농도는 안표면에 사용할 때는 큰 문제가 없으나 전안부 수술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참고
- ↑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 ↑ Baudouin C et al. Preservatives in eyedrops :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Prog Retin Eye Res. 2010 Jul;29(4):312-34. 연결
- ↑ 3.0 3.1 Li C, et al. Research on the stability of a rabbit dry eye model induced by topical application of the preservative BAC. PLoS One. 2012;7(3):e33688. doi: 10.1371/journal.pone.0033688. Epub 2012 Mar 16. Erratum in: PLoS One. 2012;7(7): 연결
- ↑ Uematsu M et al. Acute corneal epithelial change after instillation of BAC evaluated using a newly developed in vivo corneal 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Ophthalmic Res. 2007;39(6):308-14. 연결
- ↑ De Saint Jean M et al. Effects of BAC on growth and survival of Chang conjunctival cells. IOVS. 1999 Mar;40(3):619-30. 연결
- ↑ Solomon A et al. Pro- and anti-inflammatory forms of IL-1 in the tear fluid and conjunctiva of patients w DED. IOVS. 2001 Sep;42(10):2283-9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