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틀러-버드 술기
커틀러-버드 술기 (Cutler-Beard procedure) 는 교량 피판 술식(bridge flap prpcedure)이라고도 하며 아랫눈꺼풀에서 피부, 근육, 결막을 모두 포함하는 전층의 피판을 만들어 윗눈꺼풀의 결손 부위로 앞옮김(advancement)하는 방법이다.
적응증
- 윗눈꺼풀 전체 결손이나 아주 큰 전층 결손이 생긴 경우
수술 방법
- 결손 부위 다듬기 : 윗눈꺼풀의 결손 부위가 사각형 모양이 되도록 만든다. 외상에 의한 결손이나 선천성 결손인 경우 사각형 모양이 되도록 상피화된 결손 부위의 경계를 적절하게 잘라낸다.
- 피판 만들기 : 눈꺼풀판과 안구 사이에 눈꺼풀 받침대를 대어 안구를 보호하면서 아래 눈꺼풀테 4mm 아래, 즉 눈꺼풀판의 아래 경계와 가장자리 동맥 바로 아래에 수평 방향의 전층 눈꺼풀 절개를 한다. 윗눈꺼풀의 결손 부위 양끝을 잡아당겨 결손 부위의 폭을 측정하여 절개의 가로 폭을 정한다. 수평 방향으로 원하는 폭만큼 절개를 한 후 절개창 양 끝에서 수직 방향으로 바꾸어 아래쪽으로 아래 결막 구석의 끝까지 전층 눈꺼풀 절개를 하여 피판을 만든다.
- 피판의 결막 박리 및 이동
- 자가 귀 연골 이식
- 피판의 피부 근육층 박리 및 이동
- 피판의 분리
부작용 및 합병증
- 눈꺼풀의 뻣뻣함과 움직임 부족
- 윗눈꺼풀 뒤당김 : 예방하기 위해서는 1차 수술 시 남아 있는 윗눈꺼풀의 피부 조직을 가능한 아래로 옮겨서 봉합하며, 피판 분리를 너무 일찍 하지 말고 피판을 분리할 때 윗눈꺼풀 쪽으로 분리되는 조직의 양이 적절하도록 충분히 아래쪽에서 절개한다.
- 불안정한 눈꺼풀테
- 아래 눈꺼풀테 교량의 괴사 : 남겨진 아래 눈꺼풀테 교량에 가장자리 동맥이 손상되지 않고 남아있다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합병증이다. 수술 후 발생한 부종 또는 압박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눈꺼풀테에는 압박이나 냉찜질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속눈썹의 소실 : 재건된 눈꺼풀에 속눈썹이 없으므로, 모발 이식을 하거나 인조 눈썹으로 교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