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마린산: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1월 2일 (월)
잔글
 
7번째 줄: 7번째 줄:
백내장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작용하는데, 자유 라디칼이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수정체의 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백내장을 유발하게 된다. 활성 산소 물질 (ROS) 을 포획하여 항산화 작용을 통해 백내장 발생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ref>Shinohara T et al. Cataract : window for systemic disorders. ''Med Hypotheses''. 2007;69(3):669-77. [https://pubmed.ncbi.nlm.nih.gov/17337126/ 연결]</ref><ref>Shichi H. Cataract formation and prevention. ''Expert Opin Investig Drugs''. 2004 Jun;13(6):691-701. [https://pubmed.ncbi.nlm.nih.gov/15174955/ 연결]</ref>. 글루타치온은 비효소성 항산화 물질로 ROS와 활성질소류를 줄임으로써 셀렌산염 유발 산화 손상을 수정체에서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는 글루타치온을 탈락시켰을 때 수정체의 손상이 가속화되는 현상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손상으로 인해 글루타치온이 GSSG (glutathione disulfide) 로 변형되면서 세포질 내에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을 토대로 볼 때 로스마린산은 백내장 형성 시 나타나는 글루타치온의 손실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백내장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타. 또한 NFκB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tPA 유발성 염증 작용을 줄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백내장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작용하는데, 자유 라디칼이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수정체의 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백내장을 유발하게 된다. 활성 산소 물질 (ROS) 을 포획하여 항산화 작용을 통해 백내장 발생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ref>Shinohara T et al. Cataract : window for systemic disorders. ''Med Hypotheses''. 2007;69(3):669-77. [https://pubmed.ncbi.nlm.nih.gov/17337126/ 연결]</ref><ref>Shichi H. Cataract formation and prevention. ''Expert Opin Investig Drugs''. 2004 Jun;13(6):691-701. [https://pubmed.ncbi.nlm.nih.gov/15174955/ 연결]</ref>. 글루타치온은 비효소성 항산화 물질로 ROS와 활성질소류를 줄임으로써 셀렌산염 유발 산화 손상을 수정체에서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는 글루타치온을 탈락시켰을 때 수정체의 손상이 가속화되는 현상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손상으로 인해 글루타치온이 GSSG (glutathione disulfide) 로 변형되면서 세포질 내에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을 토대로 볼 때 로스마린산은 백내장 형성 시 나타나는 글루타치온의 손실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백내장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타. 또한 NFκB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tPA 유발성 염증 작용을 줄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하자면,로스마린산은 셀렌산염 유발 백내장에서 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통한 방어 기전으로 백내장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로스마린산을 이용한 안약을 통해 세계적으로 백내장 수술이 어려운 상황에서 백내장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는 데 보존적인 요법으로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요약하자면, 로스마린산은 셀렌산염 유발 백내장에서 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통한 방어 기전으로 백내장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로스마린산을 이용한 안약을 통해 세계적으로 백내장 수술이 어려운 상황에서 백내장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는 데 보존적인 요법으로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