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길 더듬자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26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월 11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눈물길 더듬자 검사 (lacrimal probing)</b> 는 눈물소관의 막혀있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른에서 진단적 목적으로 하는 검사이며 어린...)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눈물길 더듬자 검사 (lacrimal probing)</b> 는 눈물소관의 막혀있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른에서 진단적 목적으로 하는 검사이며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눈물길 더듬자 검사 (lacrimal probing)'''{{성형안과}} 는 눈물소관의 막혀있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른에서 진단적 목적으로 하는 검사이며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검사 방법 ==
== 검사 방법 ==
검사하고 있는 눈꺼풀을 바깥 쪽으로 잡아당기면서 눈물길 더듬자를 눈물소관 내로 삽입해야 꼬임에 의한 soft stop으로 오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검사하고 있는 눈꺼풀을 바깥 쪽으로 잡아당기면서 눈물길 더듬자를 눈물소관 내로 삽입해야 꼬임에 의한 soft stop으로 오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 더듬자를 삽입할 때 코눈물관 말단의 막성 협착 부위에서 약간의 저항이 있을 수 있는데, 막을 뚫는 순간 갑자기 저항이 사라지고 쉽게 전진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더듬자를 삽입할 때 코눈물관 말단의 막성 협착 부위에서 약간의 저항이 있을 수 있는데, 막을 뚫는 순간 갑자기 저항이 사라지고 쉽게 전진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잘 뚫린 것을 확인하기 위해 fluorescein을 휘석한 식염수를 눈물점 안으로 관류시킨다. 관류액은 코로 나오게 되고 아래코선반 아래에 흡인기를 넣어 흡인하면 관류되어 나온 염색된 식염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환아가 물을 삼키는 것을 관찰하여 알 수 있다.
# 잘 뚫린 것을 확인하기 위해 fluorescein을 휘석한 식염수를 눈물점 안으로 관류시킨다. 관류액은 코로 나오게 되고 아래코선반 아래에 흡인기를 넣어 흡인하면 관류되어 나온 염색된 식염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환아가 물을 삼키는 것을 관찰하여 알 수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