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구역 잠복 외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29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월 16일 (월)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 FA : 58%에서만 이상 소견이 나타나고 주로 망막 색소상피의 변화에 따른 창문 비침을 보인다.
* FA : 58%에서만 이상 소견이 나타나고 주로 망막 색소상피의 변화에 따른 창문 비침을 보인다.
* ICGA : 주로 저형광 병변이 나타난다.
* ICGA : 주로 저형광 병변이 나타난다.
* OCT : 병변 부위의 광수용체 내외분절 신호대의 소실이 관찰된다.
* OCT : 병변 부위의 광수용체 내외분절 신호대의 소실이 관찰된다<ref>Fujiwara T et al. FAF and OCT findings in AZOOR. ''Retina''. 2010 Sep;30(8):1206-16. [https://pubmed.ncbi.nlm.nih.gov/20661173/ 연결]</ref><ref>Li D et al. Loss of photoreceptor OS in AZOOR. ''Arch Ophthalmol''. 2007 Sep;125(9):1194-200. [https://pubmed.ncbi.nlm.nih.gov/17846358/ 연결]</ref><ref>Spaide RF et al. Photoreceptor OS abnormalities as a cause of blind spot enlargement in AZOOR-complex diseases. ''AJO''. 2008 Jul;146(1):111-20. [https://pubmed.ncbi.nlm.nih.gov/18439564/ 연결]</ref>.
* 시야 검사 : 75%에서 시야 결손과 동반된 암점의 확대가 나타나며, 주로 중심 암점이 나타나며 일부에서 주변 시야 협착, 고리모양 암점 등이 관찰된다.
* VF : 75%에서 시야 결손과 동반된 암점의 확대가 나타나며, 주로 중심 암점이 나타나며 일부에서 주변 시야 협착, 고리모양 암점 등이 관찰된다.
* 망막전위도 : <span style='color:blue;'>진단 시 가장
* ERG : <span style='color:blue;'>진단 시 가장 중요한 검사</span>로 거의 모두 이상 소견이 나타나며, 원뿔세포와 막대세포의 가능 이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소견을 보인다. 만일 ERG가 정상이면 다시 한 번 진단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 치료 ==
== 치료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