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 변성 (망막):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18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1월 25일 (수)
잔글
잔글 (→‎역학)
6번째 줄: 6번째 줄:


직계 가족에서 격자 변성은 23%에서 관찰되며 이는 정상군의 유병률인 8%에 비하면 3배 정도 많다<ref name=r2 />. 여러 유전적인 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격자 변성은 유전의 가능성이 고려되지만 특징적인 유전 형태는 기저 질환에 따르므로 단순한 격자 변성을 유전적인 병변으로만 보기에는 어렵다.
직계 가족에서 격자 변성은 23%에서 관찰되며 이는 정상군의 유병률인 8%에 비하면 3배 정도 많다<ref name=r2 />. 여러 유전적인 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격자 변성은 유전의 가능성이 고려되지만 특징적인 유전 형태는 기저 질환에 따르므로 단순한 격자 변성을 유전적인 병변으로만 보기에는 어렵다.
== 위험 인자 ==
근시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안축장이 길면 길수록 격자 변성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나 이와 반대로 6D 이상의 근시에서는 안축장이 긴 눈에서 오히려 격자 변성의 빈도가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중등도의 근시에서 격자 변성이 많이 관찰된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격자 변성이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28mm 이상의 고도 근시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ref>신현웅 등, 격자 변성의 유병률과 안축장과의 관계, ''JKOS''2000;41(4):938-944.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4399 연결]</ref>.


== 임상 양상 ==
== 임상 양상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