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역학) |
잔글 (→예방적 치료를 고려할 위험 인자들)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원공이 있는 격자 변성이 원공이 없는 경우보다 망막 박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 보이나 통계학적으로 연관성은 없다. 띠라서 이러한 위축성 원공으로 인한 망막 박리의 위험성은 때우 낮다. 그러므로 격자 변성에서 원공만 있는 정우에는 반드시 예방적 치료가 필요하진 않다. | 원공이 있는 격자 변성이 원공이 없는 경우보다 망막 박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 보이나 통계학적으로 연관성은 없다. 띠라서 이러한 위축성 원공으로 인한 망막 박리의 위험성은 때우 낮다. 그러므로 격자 변성에서 원공만 있는 정우에는 반드시 예방적 치료가 필요하진 않다. | ||
=== 예방적 치료를 고려할 위험 인자들 === | === 예방적 치료를 고려할 위험 인자들 === | ||
반대쪽 눈에 망막 박리의 병력이 있는 경우 망막 박리의 기족력이 있거나 근시 그리고 무수정체안 혹은 인공 수정체안 등은 격자 변성 환자에서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높다. 아직 이러한 눈에서 격자 변성을 예방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없다. 하지만 개개의 환지들에게 위험 인자들의 유무를 고려하여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 반대쪽 눈에 망막 박리의 병력이 있는 경우 망막 박리의 기족력이 있거나 근시 그리고 무수정체안 혹은 인공 수정체안 등은 격자 변성 환자에서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높다<ref name=r3 />. 아직 이러한 눈에서 격자 변성을 예방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없다. 하지만 개개의 환지들에게 위험 인자들의 유무를 고려하여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 ||
한 눈에 격자 변성으로 망막 박리가 발생한 경우 반대쪽 안에 예방적 치료는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망막 박리가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가 대부분이며 과거 | 한 눈에 격자 변성으로 망막 박리가 발생한 경우 반대쪽 안에 예방적 치료는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망막 박리가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ref name=r3><ref>Benson WE et al. The prognosis of RD due to lattice degeneration. ''Ann Ophthalmol''. 1978 Sep;10(9):1197-200.[https://pubmed.ncbi.nlm.nih.gov/736407/ 연결]</ref>.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가 대부분이며 과거 냉동 치료에 비해 훨씬 안전하고 환자의 불편감이 적다. 대개의 병변은 접촉성 렌즈를 이용한 기존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료하지만, 거상연에 기까운 병변의 경우 간접 검안경을 이용한 레이저로 치료할 수 있다. | ||
예방적 냉동 치료 후에 빌생 기능한 합병증들은 새로운 밍막 열공, 망막 박리, 황반전막, 유리체 출혈, 낭포성 황반 부종 등이 있으며 5~6%에서 발생한다. 격자 변성이나 유전적 유리체망막 변성을 지닌 환지에게 망막박리의 초기 징후에 대한 교육과 경고가 필요하며 망막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외과적 치료로 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 예방적 냉동 치료 후에 빌생 기능한 합병증들은 새로운 밍막 열공, 망막 박리, 황반전막, 유리체 출혈, 낭포성 황반 부종 등이 있으며 5~6%에서 발생한다. 격자 변성이나 유전적 유리체망막 변성을 지닌 환지에게 망막박리의 초기 징후에 대한 교육과 경고가 필요하며 망막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외과적 치료로 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