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연구<ref>Leonardi A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0.1% ciclosporin A cationic emulsion in DED : a pooled analysis of two double-masked, randomised, vehicle-controlled P3 clinical studies. ''BJO''. 2019 Jan;103(1):125-131. [https://pubmed.ncbi.nlm.nih.gov/29545413/ 연결]</ref> == | == 연구<ref>Leonardi A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0.1% ciclosporin A cationic emulsion in DED : a pooled analysis of two double-masked, randomised, vehicle-controlled P3 clinical studies. ''BJO''. 2019 Jan;103(1):125-131. [https://pubmed.ncbi.nlm.nih.gov/29545413/ 연결]</ref> == | ||
=== SANSIKA<ref>Baudouin C et al. 1y Efficacy and Safety of 0.1% Cyclosporine a Cationic Emulsion in the Treatment of Severe DED. ''Eur J Ophthalmol''. 2017 Nov 8;27(6):678-685. [https://pubmed.ncbi.nlm.nih.gov/28708219/ 연결]</ref> === | === SANSIKA<ref>Baudouin C et al. 1y Efficacy and Safety of 0.1% Cyclosporine a Cationic Emulsion in the Treatment of Severe DED. ''Eur J Ophthalmol''. 2017 Nov 8;27(6):678-685. [https://pubmed.ncbi.nlm.nih.gov/28708219/ 연결]</ref> === | ||
이 연구는 심한 각막염을 동반한 건성안 치료에서 0.1% CsA 양이온 에멀전 (CE) 의 효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이 다기관, 이중 가림, 3상 연구에서 중증 건성안 환자들 (각막 형광 염색 4등급, 수정된 옥스포드 척도) 은 6개월동안 CsA CE (아이커비스®) 1/d 또는 위약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 |||
CsA CE 는 CFS 점수 및 인간 백혈구 항원-항원 D 관련 발현을 감소시켰고, 각막 투명도를 개선했고, 전반적인 증상 점수 ([[OSDI]], 시각 아날로그 척도) 를 지속적으로 개선했다. 6, 12개월의 CFS-OSDI 반응율 (기준 대비 ≥2 CFS 점수, ≥30% OSDI 향상) 은 CsA CE/CsA CE 는 39.1 대 28.6%, 위약/CsA CE 는 38.0 대 23.1% 였다. 가장 흔한 치료 관련 부작용은 점안 부위 통증 (CsA CE/CsA CE 군 7.8%, 위약/CsA CE 군 19.0%) 이었다. 전신 CsA 농도는 이전에 전신 CsA 로 치료받은 2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없거나 무시할 수준이었다. | |||
=== SICCANOVE<ref>Baudouin C et al. A randomized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0.1% cyclosporine A cationic emulsion in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dry eye. ''Eur J Ophthalmol''. 2017 Aug 30;27(5):520-530. [https://pubmed.ncbi.nlm.nih.gov/28362054/ 연결]</ref> === | === SICCANOVE<ref>Baudouin C et al. A randomized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0.1% cyclosporine A cationic emulsion in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dry eye. ''Eur J Ophthalmol''. 2017 Aug 30;27(5):520-530. [https://pubmed.ncbi.nlm.nih.gov/28362054/ 연결]</ref> ===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