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경과 관찰) |
잔글 (→NVE가 계속 남아있을 때)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견인 망막박리와 섬유화 증식의 정도 | * 견인 망막박리와 섬유화 증식의 정도 | ||
만약 신생혈관이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며 정도가 이전에 비해 심해졌다면 | 만약 신생혈관이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며 정도가 이전에 비해 심해졌다면 추가 광응고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신생혈관의 직경이 줄어들고, 섬유화 증식 소견이 보인다면 이는 망막병증이 휴지기에 접어든다는 것을 뜻하고, 추가적인 치료를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광범위한 PVD가 일어나면서 동시에 생기는 한 번의 유리체 출혈에 비해 PVD와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 ||
일어나는 유리체 출혈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가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광범위하게 PVD가 일어난 상황에서는 신생혈관의 추가적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추가 레이저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광음고 반흔 사이의 간격이 넓고, 광응고 치료가 되지 않은 부위가 있다면 추가 레이저 치료가 도움이 되겠지만, 광범위하게 광응고 치료가 되어 있어 추가 레이저 응고반이 기존의 응고반 위에 덮이게 된다면 시야 협착, 야맹증 등의 합병증 가능성만 높아질 것이며 추가 치료의 이득은 적을 것이다. 유리체 출혈이 심하여 추가 광응고 치료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 일어나는 유리체 출혈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가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광범위하게 PVD가 일어난 상황에서는 신생혈관의 추가적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추가 레이저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광음고 반흔 사이의 간격이 넓고, 광응고 치료가 되지 않은 부위가 있다면 추가 레이저 치료가 도움이 되겠지만, 광범위하게 광응고 치료가 되어 있어 추가 레이저 응고반이 기존의 응고반 위에 덮이게 된다면 시야 협착, 야맹증 등의 합병증 가능성만 높아질 것이며 추가 치료의 이득은 적을 것이다. 유리체 출혈이 심하여 추가 광응고 치료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