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망막 광응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3일 (금)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증식 당뇨 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처음에는 강한 에너지의 빛으로 망막의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때 신생 혈관 주변 넓은 부위의 망막이 함께 지져지면, 흥미롭게도 응고하려 했던 신생 혈관에서 먼 곳의, 직접 광응고하지 않은 신생 혈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울러 위축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또 여러가지 이유로 한 쪽 눈에 넓게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환자나 시신경 위축이 있는 환자, 한쪽에만 심한 근시성 변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양안을 비교하니,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쪽 눈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이 안 일어났거나 훨씬 덜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위의 두 가지 사실에서 Aiello와 Beetham은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하지 않고도 망막을 넓게 광응고하여 비교적 무해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망막의 신생혈관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였고, 루비 레이저를 써서 환자의 눈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로 망막의 신생혈관이 위축됨을 보고하였다.
[[증식 당뇨 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처음에는 강한 에너지의 빛으로 망막의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때 신생 혈관 주변 넓은 부위의 망막이 함께 지져지면, 흥미롭게도 응고하려 했던 신생 혈관에서 먼 곳의, 직접 광응고하지 않은 신생 혈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울러 위축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또 여러가지 이유로 한 쪽 눈에 넓게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환자나 시신경 위축이 있는 환자, 한쪽에만 심한 근시성 변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양안을 비교하니,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쪽 눈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이 안 일어났거나 훨씬 덜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위의 두 가지 사실에서 Aiello와 Beetham은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하지 않고도 망막을 넓게 광응고하여 비교적 무해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망막의 신생혈관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였고, 루비 레이저를 써서 환자의 눈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로 망막의 신생혈관이 위축됨을 보고하였다.
== 적응증 ==
== 적응증 ==
* [[유두 혈관신생]]이 심한 경우 (표준사진 10A보다 심한 경우)
* [[유두 신생혈관]]이 심한 경우 (표준사진 10A보다 심한 경우)
* [[유두 혈관신생]]이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유두 신생혈관]]이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주변 혈관신생]]이 심하게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주변 신생혈관]]이 심하게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홍채 혈관신생]]
* [[홍채 신생혈관]]
* 심한 모세혈관 비관류
* 심한 모세혈관 비관류
== 치료 기구 ==
== 치료 기구 ==
* 레이저 : 여러 종류의 레이저를 사용하는데, 아르곤 레이저를 가장 많이 쓰고 있고, 특히 초록 아르곤(514nm)을 많이 쓴다. 청록 아르곤(488nm)은 눈 속에서 많이 산란되고 필터를 통과하여 장기적으로는 시술자의 망막 황반 부위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어 예전보다 덜 쓰인다. 빨강 크립톤 레이저(647nm)는 파장이 길어 침투력이 강하므로, 핵경화 백내장이나 가벼운 유리체 출혈이 있어도 광응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망막에 대한 광응고 효과는 아르곤 레이저와 비슷하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가볍고 부피가 작으므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좀 더 장파장(780~850nm)이어서 침투력이 좋아 눈 속의 혼탁이 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눈 조직 깊숙이 에너지가 들어가서 통증을 더 맣이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br />최근에는 [[PASCAL]]이 등장하여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 레이저 : 여러 종류의 레이저를 사용하는데, 아르곤 레이저를 가장 많이 쓰고 있고, 특히 초록 아르곤(514nm)을 많이 쓴다. 청록 아르곤(488nm)은 눈 속에서 많이 산란되고 필터를 통과하여 장기적으로는 시술자의 망막 황반 부위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어 예전보다 덜 쓰인다. 빨강 크립톤 레이저(647nm)는 파장이 길어 침투력이 강하므로, 핵경화 백내장이나 가벼운 유리체 출혈이 있어도 광응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망막에 대한 광응고 효과는 아르곤 레이저와 비슷하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가볍고 부피가 작으므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좀 더 장파장(780~850nm)이어서 침투력이 좋아 눈 속의 혼탁이 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눈 조직 깊숙이 에너지가 들어가서 통증을 더 맣이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br />최근에는 [[PASCAL]]이 등장하여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