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대부분 백내장 수술 이외에는 특별한 수술과의 관계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이 등<ref>이홍원 등, 안외상 후 후방인공수정체가 결막하 공간으로 이탈한 증례, ''한안지'' 2023;64(1):73-7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712 연결]</ref>이 이전에 포도막염 녹내장으로 [[섬유주 절제술]], 방수 유출장치 삽입술, 공막경유 모양체 광응고술 그리고 백내장 수술을 받은 눈에서 외상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 전위 증례를 보고하였다. | 대부분 백내장 수술 이외에는 특별한 수술과의 관계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이 등<ref>이홍원 등, 안외상 후 후방인공수정체가 결막하 공간으로 이탈한 증례, ''한안지'' 2023;64(1):73-7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712 연결]</ref>이 이전에 포도막염 녹내장으로 [[섬유주 절제술]], 방수 유출장치 삽입술, 공막경유 모양체 광응고술 그리고 백내장 수술을 받은 눈에서 외상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 전위 증례를 보고하였다. | ||
== 기전 == | == 기전 == | ||
주로 백내장수술 당시 절개 부위는 상측이었고, 인공수정체 종류는 비접힘형 (nonfoldable) 또는 PMMA 재질이었다<ref>Mandal AK et al. Traumatic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03 Jun;51(2):177-8. [https://pubmed.ncbi.nlm.nih.gov/12831149/ 연결]</ref><ref>Chandravanshi SL et al. Golden half ring sign for identification of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15 Mar;63(3):259-61. [https://pubmed.ncbi.nlm.nih.gov/25971173/ 연결]</ref><ref>Mohan A et al. Inferior SC dislocation of PC IOL after blunt trauma. ''Indian J Ophthalmol''. 2017 Jun;65(6):521-523. [https://pubmed.ncbi.nlm.nih.gov/28643720/ 연결]</ref>. 따라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이전의 수술 부위로 단단한 재질의 인공수정체가 공막에 강한 힘을 전달하여 공막파열 부위를 통해서 인공수정체 전위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 주로 백내장수술 당시 절개 부위는 상측이었고, 인공수정체 종류는 비접힘형 (nonfoldable) 또는 PMMA 재질이었다<ref>Mandal AK et al. Traumatic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03 Jun;51(2):177-8. [https://pubmed.ncbi.nlm.nih.gov/12831149/ 연결]</ref><ref>Chandravanshi SL et al. Golden half ring sign for identification of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15 Mar;63(3):259-61. [https://pubmed.ncbi.nlm.nih.gov/25971173/ 연결]</ref><ref>Mohan A et al. Inferior SC dislocation of PC IOL after blunt trauma. ''Indian J Ophthalmol''. 2017 Jun;65(6):521-523. [https://pubmed.ncbi.nlm.nih.gov/28643720/ 연결]</ref><ref>Narang P et al. Clinical outcomes in traumatic pseudophacocele : 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17 Dec;65(12):1465-1469. [https://pubmed.ncbi.nlm.nih.gov/29208836/ 연결]</ref>. 따라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이전의 수술 부위로 단단한 재질의 인공수정체가 공막에 강한 힘을 전달하여 공막파열 부위를 통해서 인공수정체 전위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