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내 혈종: 두 판 사이의 차이

197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18일 (토)
잔글
잔글 (→‎원인)
잔글 (→‎원인)
3번째 줄: 3번째 줄:
비교적 드물고, 고령의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비교적 드물고, 고령의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 원인 ==
== 원인 ==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인공수정체에 의한 홍채 마찰, 인공수정체 지지부에 의한 모양체 미란 (erosion), 포도막염 녹내장 출혈 증후군, 외상<ref name=r3 />, 공막 절개 및 윤부 절개 시 혈관파열 발생, 전방각과 홍채, 유리체강으로부터의 유입<ref name=r4>Hagan JC 3rd et al. Clinical syndrome of endocapsular hematoma : presentation of a collected seri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CRS''. 1996 Apr;22(3):379-84. [https://pubmed.ncbi.nlm.nih.gov/8778375/ 연결]</ref>, 투명 각막 절개 시 섬유소 응집의 형성7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발생된 출혈은 연속곡선 수정체낭원형절개의 구축으로 인하여 인공수정체의 후면과 수정체 후낭 사이의 공간인 낭내 공간에 고립되고 섬유소분해 효소가 방수로부터 유입되지 않아 흡수가 일어나지 않는다<ref>Zagelbaum BM et al. Endocapsular hyphema. ''JCRS''. 1993 May;19(3):413-4. [https://pubmed.ncbi.nlm.nih.gov/8501640/ 연결]</ref>.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인공수정체에 의한 홍채 마찰, 인공수정체 지지부에 의한 모양체 미란 (erosion), 포도막염 녹내장 출혈 증후군, 외상<ref name=r3 />, 공막 절개 및 윤부 절개 시 혈관파열 발생, 전방각과 홍채, 유리체강으로부터의 유입<ref name=r4>Hagan JC 3rd et al. Clinical syndrome of endocapsular hematoma : presentation of a collected seri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CRS''. 1996 Apr;22(3):379-84. [https://pubmed.ncbi.nlm.nih.gov/8778375/ 연결]</ref>, 투명 각막 절개 시 섬유소 응집의 형성<ref>Patel V et al. Persistent endocapsular hematoma following uneventful PE and CCI cataract surgery. ''JCRS''. 2006 Oct;32(10):1764-5. [https://pubmed.ncbi.nlm.nih.gov/17010882/ 연결]</ref>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발생된 출혈은 연속곡선 수정체낭원형절개의 구축으로 인하여 [[인공수정체]]의 후면과 수정체 후낭 사이의 공간인 낭내 공간에 고립되고 섬유소 분해 효소가 방수로부터 유입되지 않아 흡수가 일어나지 않는다<ref>Zagelbaum BM et al. Endocapsular hyphema. ''JCRS''. 1993 May;19(3):413-4. [https://pubmed.ncbi.nlm.nih.gov/8501640/ 연결]</ref>.


항응고제 및 항혈전제의 복용도 낭내 혈종의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승모판 역류로 진단된 후 와파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였던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5년 후 낭내 혈종이 발생된 바 있으며<ref>Gedik S et al. Oral anticoagulant therapy, endocapsular hematoma, and Nd:YAG capsulotomy. ''JCRS''. 2006 Jan;32(1):171-3. [https://pubmed.ncbi.nlm.nih.gov/16516800/ 연결]</ref>,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트렙토키나아제와 아스피린을 복용하였던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2년 후 낭내 혈종이 발생되었다는 보고가 있다<ref>Dhawan B et al. Endocapsular hematoma : a rare form of ocular hemorrhage after thrombolysis w streptokinase. ''N Am J Med Sci''. 2014 Aug;6(8):425-7. [https://pubmed.ncbi.nlm.nih.gov/25210679/ 연결]</ref>.
항응고제 및 항혈전제의 복용도 낭내 혈종의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승모판 역류로 진단된 후 와파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였던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5년 후 낭내 혈종이 발생된 바 있으며<ref>Gedik S et al. Oral anticoagulant therapy, endocapsular hematoma, and Nd:YAG capsulotomy. ''JCRS''. 2006 Jan;32(1):171-3. [https://pubmed.ncbi.nlm.nih.gov/16516800/ 연결]</ref>,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트렙토키나아제와 아스피린을 복용하였던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2년 후 낭내 혈종이 발생되었다는 보고가 있다<ref>Dhawan B et al. Endocapsular hematoma : a rare form of ocular hemorrhage after thrombolysis w streptokinase. ''N Am J Med Sci''. 2014 Aug;6(8):425-7. [https://pubmed.ncbi.nlm.nih.gov/25210679/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