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초점 인공수정체: 두 판 사이의 차이

530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18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 OptiVis™ (Aaren Scientific) : 광학부 후면이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인공수정체로, 중심부 1.5mm는 굴절 영역, 1.5~3.8mm 사이는 회절 영역, 3.8mm 외측은 Bi-sign 비구면 굴절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굴절 영역은 중간 거리와 원거리, 회절 영역은 근거리와 원거리, 비구면 굴절 영역은 원거리 초점을 담당한다. 동공의 크기가 커질수록 원거리 초점의 비율이 증가하고, 아크릴 재질의 일체형 구조로 2.2mm의 절개창을 통해 삽입이 가능하다.
* OptiVis™ (Aaren Scientific) : 광학부 후면이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인공수정체로, 중심부 1.5mm는 굴절 영역, 1.5~3.8mm 사이는 회절 영역, 3.8mm 외측은 Bi-sign 비구면 굴절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굴절 영역은 중간 거리와 원거리, 회절 영역은 근거리와 원거리, 비구면 굴절 영역은 원거리 초점을 담당한다. 동공의 크기가 커질수록 원거리 초점의 비율이 증가하고, 아크릴 재질의 일체형 구조로 2.2mm의 절개창을 통해 삽입이 가능하다.
* Lentis® Mplus (Oculentis) : 굴절이나 회절성이 아닌 회전 비축대칭 다초점 인공수정체로, 광학부는 후면은 비구면이고 전면은 다른 곡률을 가진 두 개의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위쪽의 구면은 원거리 초점, 아래쪽 구면은 +3D의 근거리 초점을 담당한다. 회전 비축대칭 구조로 굴절성이나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보다 동공 크기에 영향을 덜 받는다.
* Lentis® Mplus (Oculentis) : 굴절이나 회절성이 아닌 회전 비축대칭 다초점 인공수정체로, 광학부는 후면은 비구면이고 전면은 다른 곡률을 가진 두 개의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위쪽의 구면은 원거리 초점, 아래쪽 구면은 +3D의 근거리 초점을 담당한다. 회전 비축대칭 구조로 굴절성이나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보다 동공 크기에 영향을 덜 받는다.
== 단점 ==
술 후 빛번짐 현상이나 대비감도 저하, 특정 초점 거리만 잘 보여서 끊겨 보이는 현상 등은 한계점으로 남아있다<ref>de Vries NE et al. Multifocal IOLs in cataract surgery : literature review of benefits and side effects. ''JCRS''. 2013 Feb;39(2):268-78. [https://pubmed.ncbi.nlm.nih.gov/23332253/ 연결]</ref><ref>Woodward MA et al. Dissatisfaction after multifocal IOL implantation. ''JCRS''. 2009 Jun;35(6):992-7. [https://pubmed.ncbi.nlm.nih.gov/19465282/ 연결]</ref>.
2-4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