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플렉시뷰 (Flexivue)'''{{각막}} microlens 는 3.2 mm의 이중 광학부가 있고, 중심부 (1.6 mm) 에는 굴절력이 없어 원거리를 볼 수 있고, 주변부에는...)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플렉시뷰 (Flexivue)'''{{각막}} microlens 는 3.2 mm의 이중 광학부가 있고, 중심부 (1.6 mm) 에는 굴절력이 없어 원거리를 볼 수 있고, 주변부에는 +1.5 ~ +3.5 D 의 도수를 넣어 근거리를 볼 수 있게 만든 인레이이다<ref>Beer SM et al. A 3y FU study of a new corneal inlay : clinical results and outcomes. ''BJO''. 2020 May;104(5):723-728. [https://pubmed.ncbi.nlm.nih.gov/31446390/ 연결]</ref>. 생체 적합한 친수성 아크릴 재질로 인레이 중앙에는 0.5 mm 의 구멍이 있어 각막 실질의 산소와 영양분이 인레이를 통과해서 지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ref>Larrea X et al. Oxygen and glucose distribution after intracorneal lens implantation. ''Optom Vis Sci''. 2007 Dec;84(12):1074-81. [https://pubmed.ncbi.nlm.nih.gov/18091305/ 연결]</ref>. | '''플렉시뷰 (Flexivue)'''{{각막}} microlens (Presbia, Los Angeles, CA, USA) 는 3.2 mm의 이중 광학부가 있고, 중심부 (1.6 mm) 에는 굴절력이 없어 원거리를 볼 수 있고, 주변부에는 +1.5 ~ +3.5 D 의 도수를 넣어 근거리를 볼 수 있게 만든 인레이이다<ref>Beer SM et al. A 3y FU study of a new corneal inlay : clinical results and outcomes. ''BJO''. 2020 May;104(5):723-728. [https://pubmed.ncbi.nlm.nih.gov/31446390/ 연결]</ref>. 생체 적합한 친수성 아크릴 재질로 인레이 중앙에는 0.5 mm 의 구멍이 있어 각막 실질의 산소와 영양분이 인레이를 통과해서 지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ref>Larrea X et al. Oxygen and glucose distribution after intracorneal lens implantation. ''Optom Vis Sci''. 2007 Dec;84(12):1074-81. [https://pubmed.ncbi.nlm.nih.gov/18091305/ 연결]</ref>. | ||
== 장점 == | == 장점 == | ||
여러 단계의 도수가 있어 노안의 초기 단계에서 수술했더라도 노안이 진행하면 이후에 인레이를 높은 단계로 교체하여 효과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 여러 단계의 도수가 있어 노안의 초기 단계에서 수술했더라도 노안이 진행하면 이후에 인레이를 높은 단계로 교체하여 효과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