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인레이: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27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종류)
3번째 줄: 3번째 줄:
1949년 스페인의 Jose Barraquer가 그 개념을 도입한 뒤 많은 발전을 해왔다. 초반에는 근시나 무수정체안에서 굴절 교정을 위해 시도되었지만[16,17], 라식이나 레이저 각막 성형술과 같이 쉽고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적은 레이저 굴절 수술이 도입되면서 노안 교정으로 방향을 바꾸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나 polysulfone 재질의 렌즈를 삽입하였으나, 이것이 각막 실질의 당 확산을 차단하여 혈관 생성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초래하여, 이후에는 영양분이나 산소가 삽입물을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도록 생체적합성을 높인 재질들이 개발되었다.
1949년 스페인의 Jose Barraquer가 그 개념을 도입한 뒤 많은 발전을 해왔다. 초반에는 근시나 무수정체안에서 굴절 교정을 위해 시도되었지만[16,17], 라식이나 레이저 각막 성형술과 같이 쉽고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적은 레이저 굴절 수술이 도입되면서 노안 교정으로 방향을 바꾸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나 polysulfone 재질의 렌즈를 삽입하였으나, 이것이 각막 실질의 당 확산을 차단하여 혈관 생성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초래하여, 이후에는 영양분이나 산소가 삽입물을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도록 생체적합성을 높인 재질들이 개발되었다.
== 종류 ==
== 종류 ==
* 캄라 (KAMRA) 인레이 (AcuFocus Inc., Irvine, CA, USA) : 핀홀 원리를 이용해 초점 심도를 증가시켜 노안을 교정한다<ref>Sánchez-González JM et al. Refractive corneal inlay implantation outcomes : a preliminary systematic review. Int Ophthalmol. 2022 Feb;42(2):713-722. [https://pubmed.ncbi.nlm.nih.gov/34599717/ 연결]</ref>.
* [[캄라]] (KAMRA) 인레이 (AcuFocus Inc., Irvine, CA, USA) : 핀홀 원리를 이용해 초점 심도를 증가시켜 노안을 교정한다<ref>Sánchez-González JM et al. Refractive corneal inlay implantation outcomes : a preliminary systematic review. Int Ophthalmol. 2022 Feb;42(2):713-722. [https://pubmed.ncbi.nlm.nih.gov/34599717/ 연결]</ref>.
* 레인드롭 (Raindrop) 근거리 인레이 : 각막 중심부의 곡률을 변화시켜 근거리 시력을 개선하나 각막 혼탁의 위험성 때문에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 레인드롭 (Raindrop) 근거리 인레이 : 각막 중심부의 곡률을 변화시켜 근거리 시력을 개선하나 각막 혼탁의 위험성 때문에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 굴절형 인레이 : 원거리와 근거리 초점을 분리하는 이중 초점 광학부를 이용해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킨다.
* 굴절형 인레이 : 원거리와 근거리 초점을 분리하는 이중 초점 광학부를 이용해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킨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