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캄라 (KAMRA)''' 인레이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각막 인레이]] 이다. | '''캄라 (KAMRA)'''{{각막}} 인레이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각막 인레이]] 이다. | ||
== 원리 == | == 원리 == | ||
동공을 줄여주는 효과를 내어 주변부의 광선을 차단하여 홍채와 수정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수차를 줄여 (핀홀 원리) 초점 심도를 높이게 되고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킨다. | 동공을 줄여주는 효과를 내어 주변부의 광선을 차단하여 홍채와 수정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수차를 줄여 ([[핀홀]] 원리) 초점 심도를 높이게 되고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킨다. | ||
== 구조 == | == 구조 == | ||
polyvinylidene fluoride로 만들어진다. 직경 3.8 | polyvinylidene fluoride로 만들어진다. 직경 3.8 mm 의 인레이 중앙에 1.6 mm 의 작은 구멍이 있고 10 ㎛ 두께를 가지며, 고식적 라식 절편이나 250 ㎛ 깊이의 각막 주머니 안에 이식한다. 인레이에는 8,400개의 5 ㎛ 크기의 얇은 미세 구멍들이 있어, 각막 실질에서의 산소나 영양소 투과를 가능하게 하여 각막 부종이나 기능 부전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 ||
== 연구 결과 == | |||
가지며, 고식적 라식 절편이나 250 | 여러 연구에서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근거리와 중간거리 나안시력이 모두 향상되고 수술 후 3년까지 선호하는 근거리가 잘 유지되었다<ref name=r2>Dexl AK et al. LT outcomes after monocular corneal inlay implantation for the surgical compensation of presbyopia. ''JCRS''. 2015 Mar;41(3):566-75. [https://pubmed.ncbi.nlm.nih.gov/25726504/ 연결]</ref><ref name=r3>Seyeddain O et al. Small-aperture corneal inlay for the correction of presbyopia : 3y FU. ''JCRS''. 2012 Jan;38(1):35-45. [https://pubmed.ncbi.nlm.nih.gov/22018596/ 연결]</ref>. 그러나 그 효과가 영구적이지는 않은데, 수술 후 3~5년 사이에는 노화현상에 따른 원시화로 인해 근, 중간, 원거리 나안시력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여 노안 교정 효과가 떨어진다<ref name=r2 />. | ||
== 단점 == | |||
빛 번짐과 밤에 눈부심이 다른 인레이에 비해 더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불투명한 인레이의 특성으로 망막까지의 빛 도달량이 줄어들고 산소 투과를 위해 만든 미세구멍을 통해 빛이 투과하게 되면서 대비 감도가 감소하고 빛번짐이 심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ref name=r3 /><ref>Dexl AK et al. Reading performance and patient satisfaction after corneal inlay implantation for presbyopia correction : 2y FU. ''JCRS''. 2012 Oct;38(10):1808-16. [https://pubmed.ncbi.nlm.nih.gov/22921231/ 연결]</ref>. 또한 빛을 차단하는 재질 때문에 시술 후에 망막 문제가 생겼을 경우 레이저나 수술을 위해서는 인레이를 먼저 제거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