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레인드롭 (Raindrop)''' 인레이{{각막}} (ReVision Optics, Lake Forest, CA, USA) 는 2~4 mm의 원형으로 초승달 모양의 단면을 가져,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두꺼우며 (32 ㎛), 각막의 굴절률과 비슷한 굴절률을 가진다. | '''레인드롭 (Raindrop)''' 인레이{{각막}} (ReVision Optics, Lake Forest, CA, USA) 는 2~4 mm의 원형으로 초승달 모양의 단면을 가져,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두꺼우며 (32 ㎛), 각막의 굴절률과 비슷한 굴절률을 가진다. | ||
{{외부사진|1= | {{외부사진|1=https://dev.rodpub.com/images/131/579_main.jpg}} | ||
== 원리 == | == 원리 == | ||
따라서 실제로 각막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굴절력이 없으나 인레이의 중심부가 주변부보다 두껍기 때문에 각막 중심부 표면을 튀어나오게 만들어 곡률을 증가시켜<ref>Lang AJ et al.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a Corneal Shape-Changing Inlay, Deduced From OCT and Wavefront Measurements. ''IOVS''. 2016 Jul 1;57(9):OCT154-61. [https://pubmed.ncbi.nlm.nih.gov/27409467/ 연결]</ref> 근거리 및 중간거리 시력을 개선할 수 있다<ref>Garza EB et al. 1y safety and efficacy results of a hydrogel inlay to improve near vision in patients w emmetropic presbyopia. ''JRS''. 2013 Mar;29(3):166-72. [https://pubmed.ncbi.nlm.nih.gov/23446012/ 연결]</ref>. | 따라서 실제로 각막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굴절력이 없으나 인레이의 중심부가 주변부보다 두껍기 때문에 각막 중심부 표면을 튀어나오게 만들어 곡률을 증가시켜<ref>Lang AJ et al.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a Corneal Shape-Changing Inlay, Deduced From OCT and Wavefront Measurements. ''IOVS''. 2016 Jul 1;57(9):OCT154-61. [https://pubmed.ncbi.nlm.nih.gov/27409467/ 연결]</ref> 근거리 및 중간거리 시력을 개선할 수 있다<ref>Garza EB et al. 1y safety and efficacy results of a hydrogel inlay to improve near vision in patients w emmetropic presbyopia. ''JRS''. 2013 Mar;29(3):166-72. [https://pubmed.ncbi.nlm.nih.gov/23446012/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