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아리모양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6일 (월)
잔글
(새 문서: 또아리모양 각막병증 (vortex keratopathy) 은 축적된 지질의 양에 비례하여 나타나고 신기능의 손상 가능성을 시사한다. == 원인 == * chloroquine *...)
 
11번째 줄: 11번째 줄:
# 이것들이 점차 합쳐지면 가로선이 되어 윤부쪽으로 확장된다 (2기)
# 이것들이 점차 합쳐지면 가로선이 되어 윤부쪽으로 확장된다 (2기)
# 이 선들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확장되어 나선형을 만들고, 동공축을 침범한다 (3기)
# 이 선들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확장되어 나선형을 만들고, 동공축을 침범한다 (3기)
# 더 나아가 갈색 침천물들이 뭉쳐져 덩어리를 이룬다 (4기).
# 더 나아가 갈색 침천물들이 뭉쳐져 덩어리를 이룬다 (4기)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해보면 각막상피 바닥세포에 지질을 함유한 리소좀 내 봉입체를 볼 수 있고, 결막은 정상 소견이다. [[동일 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기질 전반부에서 상피 침착물과 유사한 미세 침착물이 보이며, 기질 세포의 밀도가 감소되어 있고 신경 섬유는 불규칙하다. 하루 200mg 미만의 저용량을 복용하면 제한적으로 진행이 늦어진다. 3기 각막병증은 하루 400mg 이상 1년 이상 복용 시에 발생한다. 각막 침착물로 인해 달무리 현상 등을 느낄 수 있지만 시력 저하는 드물다. 또아리모양 각막병증이 관찰된다고 해도 약물 복용을 중단할 필요는 없으며, 중단 시 3~20개월 안에 사라진다.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해보면 각막상피 바닥세포에 지질을 함유한 리소좀 내 봉입체를 볼 수 있고, 결막은 정상 소견이다. [[동일 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기질 전반부에서 상피 침착물과 유사한 미세 침착물이 보이며, 기질 세포의 밀도가 감소되어 있고 신경 섬유는 불규칙하다. 하루 200mg 미만의 저용량을 복용하면 제한적으로 진행이 늦어진다. 3기 각막병증은 하루 400mg 이상 1년 이상 복용 시에 발생한다. 각막 침착물로 인해 달무리 현상 등을 느낄 수 있지만 시력 저하는 드물다. 또아리모양 각막병증이 관찰된다고 해도 약물 복용을 중단할 필요는 없으며, 중단 시 3~20개월 안에 사라진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