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기전) |
잔글 (→임상 소견)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국외 연구에서 병변 부위는 중심와부근 (parafovea) 이 많으나, 국내 연구<ref>Lee DH et al. Pericentral HCQR in Korean patients. ''Ophthalmology''. 2015 Jun;122(6):1252-6. [https://pubmed.ncbi.nlm.nih.gov/25712474/ 연결]</ref>에 따르면 아시아인의 경우 혈관궁 근처의 황반 외 영역 (pericentral) 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
* OCT : 외망막층 및 [[망막 색소상피]]층의 결손을 확인할 수 있다. | * OCT : 외망막층 및 [[망막 색소상피]]층의 결손을 확인할 수 있다. | ||
* VF : 그에 상응하는 암점과 안저자가형광촬영상 고형광 또는 저형광 병변이 관찰된다<ref>Melles RB et al. The risk of toxic retinopathy in patients on LT HCQ therapy. ''JAMA Ophthalmol''. 2014 Dec;132(12):1453-60. [https://pubmed.ncbi.nlm.nih.gov/25275721/ 연결]</ref>. | * VF : 그에 상응하는 암점과 안저자가형광촬영상 고형광 또는 저형광 병변이 관찰된다<ref>Melles RB et al. The risk of toxic retinopathy in patients on LT HCQ therapy. ''JAMA Ophthalmol''. 2014 Dec;132(12):1453-60. [https://pubmed.ncbi.nlm.nih.gov/25275721/ 연결]</ref>. | ||
* mfERG : 해당 영역 양성파의 진폭감소가 관찰된다<ref>Kellner U et al. FAF and mfERG for early detection of retinal alterations in patients using CQ/HCQ. ''IOVS''. 2006 Aug;47(8):3531-8. [https://pubmed.ncbi.nlm.nih.gov/16877425/ 연결]</ref>. | * mfERG : 해당 영역 양성파의 진폭감소가 관찰된다<ref>Kellner U et al. FAF and mfERG for early detection of retinal alterations in patients using CQ/HCQ. ''IOVS''. 2006 Aug;47(8):3531-8. [https://pubmed.ncbi.nlm.nih.gov/16877425/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