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기전) |
잔글 (→복용량)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 복용량 === | === 복용량 === | ||
미국 안과 학회에서 2016년 발표한 HCQR 선별검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HCQ 망막병증 발생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평균 하루 복용량이 5.0 mg/kg 초과, 5년 초과의 복용 기간, 신기능 저하 및 타목시펜 복용력을 제시하였다. | 미국 안과 학회에서 2016년 발표한 HCQR 선별검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HCQ 망막병증 발생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평균 하루 복용량이 5.0 mg/kg 초과, 5년 초과의 복용 기간, 신기능 저하 및 타목시펜 복용력을 제시하였다<ref name=r4 />.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하루 평균 800~1000 mg의 고용량을 복용한 환자의 25-40%에서 HCQ 망막병증의 징후가 복용 시작 2년 내에 관찰되었다는 보고도 있다<ref>Leung LS et al. Rapid Onset of Retinal Toxicity From High-Dose HCQ Given for Cancer Therapy. ''AJO''. 2015 Oct;160(4):799-805.e1. [https://pubmed.ncbi.nlm.nih.gov/26189086/ 연결]</ref><ref>Navajas EV et al. Retinal toxicity of high-dose HCQ in patients with chronic GVHD. ''Can J Ophthalmol''. 2015 Dec;50(6):442-50. [https://pubmed.ncbi.nlm.nih.gov/26651304/ 연결]</ref>. 또한 복용 기간 또한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제시되었는데 하루 5.0 mg/kg 이하로 복용한 환자들에게서도 10년 이상 복용을 한 환자군에서 위험도가 높아, 평균 하루 복용량과 복용 기간을 고려한 누적 복용량이 위험 인자의 지표로 제시되었다<ref>Tanenbaum L et al. Antimalarial agents. CQ, HCQ, and quinacrine. ''Arch Dermatol''. 1980 May;116(5):587-91. [https://pubmed.ncbi.nlm.nih.gov/6990871/ 연결]</ref>. | ||
국내 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위험 인자로서 평균 하루 복용량, 복용 기간 및 신기능 저하를 제시하였고<ref>Kim JW et al. Risk of Retinal Toxicity in LT Users of HCQ. ''J Rheumatol''. 2017 Nov;44(11):1674-1679. [https://pubmed.ncbi.nlm.nih.gov/28864645/ 연결]</ref>, 또 다른 연구에서는 누적 복용량만을 위험 인자로 제시하였다<ref name=r10>Lee DH et al. Pericentral HCQR in Korean patients. ''Ophthalmology''. 2015 Jun;122(6):1252-6. [https://pubmed.ncbi.nlm.nih.gov/25712474/ 연결]</ref>. | 국내 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위험 인자로서 평균 하루 복용량, 복용 기간 및 신기능 저하를 제시하였고<ref>Kim JW et al. Risk of Retinal Toxicity in LT Users of HCQ. ''J Rheumatol''. 2017 Nov;44(11):1674-1679. [https://pubmed.ncbi.nlm.nih.gov/28864645/ 연결]</ref>, 또 다른 연구에서는 누적 복용량만을 위험 인자로 제시하였다<ref name=r10>Lee DH et al. Pericentral HCQR in Korean patients. ''Ophthalmology''. 2015 Jun;122(6):1252-6. [https://pubmed.ncbi.nlm.nih.gov/25712474/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국외 연구에서 병변 부위는 중심와부근 (parafovea) 이 많으나, 국내 연구<ref name=r10 />에 따르면 아시아인의 경우 혈관궁 근처의 황반 외 영역 (pericentral) 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국외 연구에서 병변 부위는 중심와부근 (parafovea) 이 많으나, 국내 연구<ref name=r10 />에 따르면 아시아인의 경우 혈관궁 근처의 황반 외 영역 (pericentral) 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