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두 판 사이의 차이

46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28일 (화)
잔글
7번째 줄: 7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고령에서 천천히 자라는 피부색의 구진 혹은 결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눈꺼풀에 호발하나<ref name=r8>Nasser H et al. EMPSGC : 2 New Eyelid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Surg Pathol''. 2020 Sep;28(6):653-657. [https://pubmed.ncbi.nlm.nih.gov/32188317/ 연결]</ref><ref name=r4 /> 뺨, 두피, 및 얼굴 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서서히 점진적으로 자라는 무통성 종괴로서 평균적으로 2 cm 이하의 크기 (범위 7~20 mm) 를 가지며 평균 유병 기간은 9.7개월이었다.
고령에서 천천히 자라는 피부색의 구진 혹은 결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눈꺼풀에 호발하나<ref name=r8>Nasser H et al. EMPSGC : 2 New Eyelid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Surg Pathol''. 2020 Sep;28(6):653-657. [https://pubmed.ncbi.nlm.nih.gov/32188317/ 연결]</ref><ref name=r4 /> 뺨, 두피, 및 얼굴 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서서히 점진적으로 자라는 무통성 종괴로서 평균적으로 2 cm 이하의 크기 (범위 7~20 mm) 를 가지며 평균 유병 기간은 9.7개월이었다.
대부분의 EMPSGC은 단독 병변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서는 다발성으로 발생한 병변의 몇몇 사례가 존재하며, 더 드물게는 양쪽 눈꺼풀에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Wang 등5이 양안에 발생한 EMPSGC에 동반된 원발성 점액성 암종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 아직까지 EMPSGC 단독으로 양안에 발생이 보고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조직학 ==
== 조직학 ==
신경내분비학적 분화를 보이는 저등급 피부 부속기 암종으로, 다양한 크기의 고형, 낭성, 혹은 부분적으로 낭성인 결절로 나타난다. 종양은 경계가 매끄럽고 부분적으로 유두 증식으로 채워진 확장된 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확장된 관은 비정형 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피세포는 균일하고 크기가 중소형이며 호산구성 세포질이 있는 타원형 내지 다각형이다. 세포의 핵은 원형 혹은 타원형의 중등도의 핵 다형성 (nuclear pleomorphism) 을 보이고<ref>장선희 등, 점액암종과 공존하는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44(1), 97-100.</ref><ref name=r10>Nair AG et al. EMPSGC of the eyelid : A clinical and histological conundrum. ''Indian J Ophthalmol''. 2018 Jul;66(7):1042-1044. [https://pubmed.ncbi.nlm.nih.gov/29941769/ 연결]</ref>, 세포 내 및 세포 외 점액 성분이 확인되지만 세포 외 점액이 풍부하지는 않다<ref name=r10 />.
신경내분비학적 분화를 보이는 저등급 피부 부속기 암종으로, 다양한 크기의 고형, 낭성, 혹은 부분적으로 낭성인 결절로 나타난다. 종양은 경계가 매끄럽고 부분적으로 유두 증식으로 채워진 확장된 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확장된 관은 비정형 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피세포는 균일하고 크기가 중소형이며 호산구성 세포질이 있는 타원형 내지 다각형이다. 세포의 핵은 원형 혹은 타원형의 중등도의 핵 다형성 (nuclear pleomorphism) 을 보이고<ref>장선희 등, 점액암종과 공존하는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44(1), 97-100.</ref><ref name=r10>Nair AG et al. EMPSGC of the eyelid : A clinical and histological conundrum. ''Indian J Ophthalmol''. 2018 Jul;66(7):1042-1044. [https://pubmed.ncbi.nlm.nih.gov/29941769/ 연결]</ref>, 세포 내 및 세포 외 점액 성분이 확인되지만 세포 외 점액이 풍부하지는 않다<ref name=r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