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8번째 줄: 8번째 줄:
고령에서 천천히 자라는 피부색의 구진 혹은 결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눈꺼풀에 호발하나<ref name=r8>Nasser H et al. EMPSGC : 2 New Eyelid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Surg Pathol''. 2020 Sep;28(6):653-657. [https://pubmed.ncbi.nlm.nih.gov/32188317/ 연결]</ref><ref name=r4 /> 뺨, 두피, 및 얼굴 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서서히 점진적으로 자라는 무통성 종괴로서 평균적으로 2 cm 이하의 크기 (범위 7~20 mm) 를 가지며 평균 유병 기간은 9.7개월이었다.
고령에서 천천히 자라는 피부색의 구진 혹은 결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눈꺼풀에 호발하나<ref name=r8>Nasser H et al. EMPSGC : 2 New Eyelid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Surg Pathol''. 2020 Sep;28(6):653-657. [https://pubmed.ncbi.nlm.nih.gov/32188317/ 연결]</ref><ref name=r4 /> 뺨, 두피, 및 얼굴 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서서히 점진적으로 자라는 무통성 종괴로서 평균적으로 2 cm 이하의 크기 (범위 7~20 mm) 를 가지며 평균 유병 기간은 9.7개월이었다.


대부분의 EMPSGC은 단독 병변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서는 다발성으로 발생한 병변의 몇몇 사례가 존재하며, 더 드물게는 양쪽 눈꺼풀에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Wang 등<ref>Wang D et al. Bilateral Concurrent EMPSGC and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s.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2 Jul-Aug 01;38(4):e96-e99. [https://pubmed.ncbi.nlm.nih.gov/35093987/ 연결]</ref>이 양안에 발생한 EMPSGC에 동반된 원발성 점액성 암종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 아직까지 EMPSGC 단독으로 양안에 발생이 보고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EMPSGC은 단독 병변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서는 다발성으로 발생한 병변의 몇몇 사례가 존재하며, 더 드물게는 양쪽 눈꺼풀에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Wang 등<ref name=r9>Wang D et al. Bilateral Concurrent EMPSGC and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s.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2 Jul-Aug 01;38(4):e96-e99. [https://pubmed.ncbi.nlm.nih.gov/35093987/ 연결]</ref>이 양안에 발생한 EMPSGC에 동반된 원발성 점액성 암종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 아직까지 EMPSGC 단독으로 양안에 발생이 보고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조직학 ==
== 조직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