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65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28일 (화)
잔글
잔글 (→‎치료)
잔글 (→‎재발)
 
23번째 줄: 23번째 줄:
종양 절제술과 [[모스 종양 절제술|모스 수술]] (Mohs operation) 등과 같은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모스 종양 절제술|모스 수술]]이 단순 절제술보다 더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나 동결 절편 검사를 통하여 수술 부위 병변 경계면의 음성이 확인되는 경우 예후 또한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r4 />. 치료 후 재발은 약 9.5%로 발생할 수 있지만<ref name=r5 />, 이로부터 전이되는 병변은 극히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보고된 재발성 종양의 경우에도 외과적 절제로 치료되었으며, 이러한 재발성 종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완전한 절제를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ref name=r5 />.
종양 절제술과 [[모스 종양 절제술|모스 수술]] (Mohs operation) 등과 같은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모스 종양 절제술|모스 수술]]이 단순 절제술보다 더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나 동결 절편 검사를 통하여 수술 부위 병변 경계면의 음성이 확인되는 경우 예후 또한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r4 />. 치료 후 재발은 약 9.5%로 발생할 수 있지만<ref name=r5 />, 이로부터 전이되는 병변은 극히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보고된 재발성 종양의 경우에도 외과적 절제로 치료되었으며, 이러한 재발성 종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완전한 절제를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ref name=r5 />.
=== 재발 ===
=== 재발 ===
문헌 상 EMPSGC의 재발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기존에 국외에서 보고된 눈꺼풀의 EMPSGC 환자에서, 초기에 병변 부위의 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17개월 후까지 재발 소견 없이 경과 관찰되었으나 초기에 병변 부위의 불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다른 증례에서는 38개월 후에 국소적 재발 소견이 보고된 예가 있었다.
문헌 상 EMPSGC의 재발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기존에 국외에서 보고된 눈꺼풀의 EMPSGC 환자에서, 초기에 병변 부위의 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17개월 후까지 재발 소견 없이 경과 관찰되었으나 초기에 병변 부위의 불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다른 증례에서는 38개월 후에 국소적 재발 소견이 보고된 예가 있었다<ref name=r8 />. 드물게 좌안 윗눈꺼풀의 종괴에서 완전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한 뒤 EMPSGC를 진단받은 환자에서 9년 뒤 이하선 (parotid gland) 및 축성 골격 (axial skeleton) 으로의 원격 전이가 보고된 예가 있으나<ref>Hadi R et al. A case of EMPSGC w distant metastasis. ''J Cutan Pathol''. 2021 Jul;48(7):937-942. [https://pubmed.ncbi.nlm.nih.gov/33660318/ 연결]</ref>, 아직까지는 여러 연구 결과들로부터 EMPSGC 병변 부위의 완전한 절제는 병변의 제자리 암종, 또는 재발 및 침습성 암종으로의 진행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2
드물게 좌안 윗눈꺼풀의 종괴에서 완전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한 뒤 EMPSGC를 진단받은 환자에서 9년 뒤 이하선
(parotid gland) 및 축성 골격(axial skeleton)으로의 원격전
이가 보고된 예가 있으나,
14 아직까지는 여러 연구 결과들
로부터 EMPSGC 병변 부위의 완전한 절제는 병변의 제자
암종, 또는 재발 및 침습성 암종으로의 진행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6,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