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샘 낭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3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3월 1일 (수)
잔글
잔글 (→‎종류)
10번째 줄: 10번째 줄:
안와 주위의 땀샘 낭종은 주로 눈꺼풀과 안쪽 눈구석에서 발생한다<ref>Golden BA et al. Cutaneous cysts of the head and neck. ''J Oral Maxillofac Surg''. 2005 Nov;63(11):1613-9. [https://pubmed.ncbi.nlm.nih.gov/16243178/ 연결]</ref>.
안와 주위의 땀샘 낭종은 주로 눈꺼풀과 안쪽 눈구석에서 발생한다<ref>Golden BA et al. Cutaneous cysts of the head and neck. ''J Oral Maxillofac Surg''. 2005 Nov;63(11):1613-9. [https://pubmed.ncbi.nlm.nih.gov/16243178/ 연결]</ref>.
== 조직학 ==
== 조직학 ==
에크린, 아포크린 땀샘 낭종을 임상적 소견 으로 감별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조직학적으로 두 아형을 감별하는데, 에크린 땀샘 낭종의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입방세포층으로 경계 지어지는 단방성 낭이 특징인 반면<ref name=r3 />, 아포크린 땀샘 낭종은 낭의 공동으로 자라 들어가는 유두상 돌기와 아포크린 세포에서 기인하는 분비물 (decapitation secretion) 이 특징적이다.
에크린, 아포크린 땀샘 낭종을 임상적 소견 으로 감별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조직학적으로 두 아형을 감별하는데, 에크린 땀샘 낭종의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입방세포층으로 경계 지어지는 단방성 낭이 특징인 반면<ref name=r3 />, 아포크린 땀샘 낭종은 낭의 공동으로 자라 들어가는 유두상 돌기와 아포크린 세포에서 기인하는 분비물 (decapitation secretion) 이 특징적이다<ref name=r4 />.
5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