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샘 낭종: 두 판 사이의 차이

1,372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3월 1일 (수)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감별해야 할 낭성 병변으로 여포 낭종, 표피 낭종, 혈관종, 림프관종, 에크린 선단공 땀샘종 등이 있다<ref>Al Rasheed R et al. Congenital giant orbital eccrine hidrocystoma. ''Am J Ophthalmol Case Rep''. 2019 Nov 6;16:100570. [https://pubmed.ncbi.nlm.nih.gov/31788577/ 연결]</ref>.
감별해야 할 낭성 병변으로 여포 낭종, 표피 낭종, 혈관종, 림프관종, 에크린 선단공 땀샘종 등이 있다<ref>Al Rasheed R et al. Congenital giant orbital eccrine hidrocystoma. ''Am J Ophthalmol Case Rep''. 2019 Nov 6;16:100570. [https://pubmed.ncbi.nlm.nih.gov/31788577/ 연결]</ref>.
== 치료 ==
무증상의 크기가 작은 한선낭종의 경우 경과관찰해 볼 수 있으나, 자연 관해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에,
한선낭종의 근본적 치료는 수술적 절제이다.
10 피하에 위치
한 한선낭종의 경우 제거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안와에
생긴 경우에는 그 위치에 따라 절제 과정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며,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절제 시에는 종괴를 터뜨리지 않고 완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중 종괴가 파열되어 완전 제거가 안 된 경우에는 재발할 수 있다<ref>Valenzuela AA et al. Apocrine hidrocystoma of the orbit. ''Orbit''. 2011 Dec;30(6):316-7. [https://pubmed.ncbi.nlm.nih.gov/22132852/ 연결]</ref>. Ssi-Yan-Kai 등<ref>Ssi-Yan-Kai IC et al. Recurrent giant orbital apocrine hidrocystoma. ''Eye (Lond)''. 2012 Jun;26(6):895-6. [https://pubmed.ncbi.nlm.nih.gov/22498797/ 연결]</ref>은 안와에 생긴 낭종을 제거하던 중 피막이 파열되었고, 병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검체가 불충분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내릴 수 없었다. 수술 2년 후 같은 위치에서 종괴가 만져져 재발이 의심되었고, 재수술에서 종괴는 피막 파열 없이 완전히 제거된 후 병리 조직검사에서 아포크린 땀샘 낭종으로 진단되었다.
{{참고}}
{{참고}}